
[한국방송/문종덕기자] 한국고용노동교육원(KELI: Korea Employment and Labor Educational Institute)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마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찾아가는 노동교육」을 실시한다.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은 매년 전국 중·고등학생 약 14만명에게 노동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수능 이후 고3 학생을 위한 특화된 노동교육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이번 특별 교육은 11월 17일부터 전국 고3 학생 1만 6천여 명을 대상으로 전문강사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소집단 활동 등 참여형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교육은 학생들이 노동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스스로 노동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첫 노동시장 경험을 의미있고 안전하게 내딛게 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주요 교육 내용은 △노동의 가치와 노동인권 △근로계약서 작성 요령 △아르바이트 필수상식 △일하다 다쳤을 때 대처 방법 △부당대우 및 권리침해 예방 등 청소년이 실제 노동현장에서 마주할 수 있는 사례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세종시 아름고등학교 손남섭 교사는 “수능 이후 고3 학생들이 가장 하고 싶어 하는 일이 아르바이트입니다. 하지만 임금체불 등 다양한 노동문제에 노출되기 쉬운 시기이기도 하지요”라며 “이번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노동인권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교육원 김종철 부원장은 “임금체불,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산업재해 등 연간 40여만 건의 노동사건 중 상당수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소년에게 발생하고 있다”라며 “학생 눈높이에 맞춘 노동교육을 통해 스스로의 노동권익을 주체적으로 지켜낼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ET단상] '잊힐 권리'의 다음 과제, 공공과 민간의 연결이 필요하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2/news-p.v1.20251102.d4721bf8097549b0991e2e115e711a4a_P3.jpg)

![[ET시론] 'AI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3/21/news-p.v1.20250321.be8e4781f7b447cea23c619ee19319be_P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