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이 막바지로 치닫는 가운데 온라인 '매크로 암표'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한 사재기 이후 수십배를 부풀려 되파는 이용자가 늘면서 리셀 문화를 해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사태를 방조한 플랫폼의 '늑장 대응'에 대한 비판이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티켓 거래 플랫폼 '티켓베이'는 최근 티켓 매수 제한 정책을 시행한다고 공지했다. 예매처에서 1인당 구매 가능한 매수와 동일한 매수까지만 재판매를 허용하는 것이 골자다. 예를 들어 예매처에서 1인당 2매까지 구매 가능한 공연 티켓은 티켓베이 내에서도 최대 2매까지만 판매가 가능하다.
이는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구매한 티켓의 재판매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최근 일부 이용자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비정상적으로 티켓을 확보하고 대량으로 재판매하는 사례를 바로 잡겠다는 취지다. 티켓베이는 매크로 의심 거래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행위가 확인될 경우 영구 이용 정지 처분은 물론 필요 시 관련 법령에 따른 수사 협조와 법적 대응에도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해당 정책 시행일은 오는 12월 1일로, 정작 문제가 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같은 문제는 최근 진행 중인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기간 부각됐다. 매크로 프로그램 이용자들이 야구 경기 표를 대량으로 확보한 후 정가의 최소 5배 이상 폭리를 취하면서 야구팬들의 원성을 샀기 때문이다. 실제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1차전 경기는 1분 만에 매진됐는데 불과 5분도 안돼서 티켓베이에 재판매 글이 우후죽순 올라왔다. 티켓베이에서는 정가 12만원 좌석이 최대 20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티켓 플랫폼이 사태를 방조해왔다는 지적도 나온다. 플랫폼 특성 상 거래가 성사되면 수수료를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티켓베이의 경우 거래 금액 10%를 수수료로 수령한다. 매크로 암표 문제가 수년 간 반복됐음에도 논란이 커지자 이제서야 대응에 나선 모습이다.
국정감사 기간에도 해당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티켓베이 거래 건수 상위 1%(441명) 거래는 12만2745건으로 전체의 41.2%를 차지했다. 이들의 거래 금액은 약 299억원으로 평균 6700만원에 달한다. 건전한 리셀 문화와는 거리가 먼 사실상 전문 '되팔이꾼'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가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프로스포츠 온라인 암표 의심 사례는 지난 2020년 6200여 건에서 올해 1~8월 25만9334건으로 40배 가까이 늘어났다. 의심 사례가 아닌 실제 암표 신고 사례도 7만7435건에 달했다. 온라인 암표 판매 근절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14일 국정감사장에서 “암표 부분은 문체부도 여러 노력을 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한계가 많다”며 “매크로를 이용하지 않는 일반 암표 행위에 대해서도 절대적인 단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경하 기자 maxkh@etnews.com

![[스포츠톡 10월 29일] KS 입장권 999만원... 프로야구 암표 '심각'](https://img.newspim.com/news/2025/10/29/2510291451285960.jpg)


![[2025 국감] 최휘영 "암표 피해 심각…웃돈 행위 전면 금지해야"](https://img.newspim.com/news/2025/10/29/251029181808253_w.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