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대따라 이모티콘 해석도 제각각
웃는 얼굴 vs 무시하거나 비꼬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쓰이던 이모티콘이 세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면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특히 '스마일' 이모티콘이 Z세대(1997년~2006년 태어난 세대)들 사이에서는 조롱이나 비웃음을 상징하고, 마약을 지칭하는 은어로도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5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미국 가족 지원 단체 지원 사이트 '포 워킹 페런트(For Working Parents)'의 창립자 아밋 칼리는 “10대들이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기본 이모티콘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뜻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욕포스트는 “노란색의 웃는 얼굴을 한 '스마일' 이모티콘은 30세 이하에게는 완전히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며 “상대를 무시하거나 노골적으로 비꼬는 의미로 사용돼 상대에게 해당 이모티콘을 보낼 경우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도 30대 사이에서는 기본 이모티콘을 행복하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반면 10대와 20대 초반의 연령대 사이에선 해당 이모티콘이 상대가 자신을 가르치려 드는 듯한 공격적인 의미로 해석한다고 전했다.
미국 브루클린의 한 미디어 업체에서 일하는 하피자트 비시(21)는 입사 당시 동료들로부터 웃는 표정의 기본 이모티콘을 받고 당황했다고 전했다.
그는 “무시당하는 느낌이었다. 진심 어린 미소가 아니라, 곁눈질하는 듯한 의미로 보였다”며 “상대 동료들이 나이가 많다는 걸 감안해야 했다. 나는 이 이모지를 비꼬는 의미로 쓴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바디랭귀지: 거리와 상관없이 신뢰와 연결을 구축하는 법'의 저자 에리카 다완은 “30세 이상은 기본 이모티콘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지만, 디지털 네이티브(원주민)인 Z세대에는 해당 이모티콘을 완전히 다른 의미 체계로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