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를 다시 설계한다면? 팬들이 꼽은 불만인 룰 5가지

2025-11-11

세계 곳곳의 축구 팬들이 “룰북을 찢고 처음부터 다시 만든다면 무엇을 바꾸겠느냐”는 질문에 답했다. 영국 공영방송 BBC가 실시한 ‘축구 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축구팬 수천명이 보내온 의견을 분석한 결과, 축구계가 오랫동안 논란을 빚어온 다섯 가지 주제가 압도적으로 많은 지지를 얻었다.

가장 많은 팬들이 손을 든 항목은 오프사이드 규정이었다. 현행 규칙은 ‘단 몇 ㎝’ 위치 차이로도 판정이 갈린다. 이에 팬들은 ‘명확한 틈(daylight)’이 있을 때만 오프사이드로 간주하거나, 18야드 라인을 기준으로 제한을 두는 등 명확성과 단순화를 요구했다. 한 팬은 “공격수가 오프사이드인 게 명백하면 즉시 깃발을 올려야 한다. 늦은 판정은 부상 위험만 키운다”고 지적했다. 전 프리미어리그 심판 크리스 포이는 “반자동 오프사이드 기술이 도입되면서 판정의 정확성은 높아졌지만, ‘늦은 깃발’은 여전히 논란이 많다”고 설명했다.

시간 지연 문제도 팬들의 주요 불만으로 꼽혔다. 이번 시즌 프리미어리그의 평균 실질 경기 시간은 55분 5초로, 지난 시즌보다 2분 가까이 줄었다. 팬들은 럭비나 농구처럼 정지 시계(stop clock)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팬들은 “경기가 중단될 때마다 시계를 멈추면, 추가시간 논란이 사라질 것”이라며 “90분 대신 60분 정시제로 바꾸고, 공이 나갈 때마다 시계를 멈추자”고 제안했다.

‘다이빙’과 ‘심판에 대한 항의’에 대한 팬들의 불만도 컸다. 팬들은 고의적 시뮬레이션이나 심판에 대한 욕설·항의에 대해 강력한 처벌을 요구했다. 한 팬은 “욕설이나 모욕성 언행은 즉시 퇴장, 4경기 출장정지가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팬은 “VAR로 다이빙 장면을 확인해 옐로카드 이상을 부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핸드볼 판정은 복잡한 문구와 일관성 부족으로 팬들의 불신을 사고 있다. ‘자연스러운 자세’, ‘고의성’, ‘거리와 반응 시간’ 등 해석 기준이 많아지면서 오히려 혼란이 커졌다는 지적이다. 팬들은 “공이 손에 맞은 것이 아니라 손이 공으로 갔을 때만 반칙이어야 한다”며 “비의도적 핸드볼은 간접 프리킥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대해 포이는 “핸드볼이 의도적인지를 완전히 입증하기는 어렵다”며 “최근 몇 년간 규정이 지나치게 자주 바뀌었다. 더 이상 잦은 변경은 혼란을 키울 뿐”이라고 밝혔다.

2019-20시즌 도입된 비디오판독(VAR)은 여전히 팬들의 불만이 집중되는 제도다. 판정이 길어지고, 현장 심판의 권위가 약화됐다는 비판이 이어진다. 팬들은 크리켓처럼 팀당 3회의 도전권(challenge system) 을 주자는 의견을 냈다. 또 “심판이 직접 VAR을 요청하도록 바꾸고, 90초 안에 결론이 나지 않으면 ‘명백한 오심’이 아닌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BBC는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팬들의 공통된 바람은 경기를 더 빠르고, 더 명확하게, 더 공정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160년 넘게 이어져온 축구 규칙은 시대에 맞춰 조금씩 진화해왔지만, 팬들은 이제 ‘불필요한 복잡성과 불공정성은 걷어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