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핵실험 선언, 동북아에 던진 ‘판도라 상자’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

2025-10-31

▲ AI 프리즘* 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주요 이슈 브리핑]

핵군비 경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3년 만에 핵실험 재개를 예고하면서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강대국 간 군비 경쟁이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리처드 코렐 미국 전략사령부 사령관 지명자는 러시아와 중국,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을 포함한 핵전력을 확장하고 있다고 강조했으며, 러시아는 미국의 핵실험 유예 위반 시 즉각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디지털화폐 패권: 유럽중앙은행이 2027년 중반 디지털 유로를 시범 도입하고 2029년 본격 상용화하는 구상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결제 시장 주도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미국이 지난 7월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에 편입시키고 일본도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하자, 유럽도 미국 주도 민간 결제 수단에 대한 전략적 대안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AI 반도체 생태계: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 및 주요 기업들과 협력해 최신 GPU인 블랙웰 26만 장을 공급하고 AI 인프라 구축에 나서면서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AI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와 SK(034730)하이닉스는 블랙웰 GPU를 활용해 반도체 공장을 AI 팩토리로 전환하고 HBM4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는 엔비디아와의 밸류체인 강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글로벌 투자자 관심 뉴스]

1. 트럼프 핵실험 발언에 러 “우리도 한다” 맞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중국의 핵무기 확장을 경계하며 즉각적인 핵실험 재개를 미 국방부에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핵실험 유예 위반 시 러시아도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신형 핵추진대륙간순항미사일 부레베스트니크 시험 운용 성공을 발표했다. 뉴욕타임스는 중국이 신장위구르자치구 로프노르 핵실험장을 재건하는 장면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고 보도했으며, 일본도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건조 승인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차세대 동력 잠수함 도입 검토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2. 엔비디아, 韓과 AI 동맹…블랙웰 26만장 푼다

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를 접견하고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AI 수도로 육성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엔비디아는 블랙웰 26만 장을 한국에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정부에 5만 개, 삼성과 SK 및 현대차(005380)그룹에 각각 최대 5만 개, 네이버클라우드에 6만 개의 GPU가 제공되며 총 14조 원 규모의 공급이 이뤄질 예정이다. 현대차와 네이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엔비디아와 피지컬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약 3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으며, 삼성전자와 SK는 반도체 생산 공정에 AI 기술을 접목해 HBM4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3. ECB, 2027년 디지털 유로 시범 도입 추진

관련기사

  • 정보가 독자를 찾아갑니다 …서울경제, 맞춤형 뉴스 ‘AI 프리즘‘ 서비스
  • AI가 찾아준 ‘나를 위한 뉴스’… 독자 맞춤형 뉴스 시대 도래
  • 서울경제, AI로 독자 맞춤형 뉴스 시대 연다… ‘AI PRISM’ 시동
  • 역전의 시간 왔나…삼성전자 HBM4 증설 검토 SK 추격 본격화 [AI 프리즘*주식투자자 뉴스]

유럽중앙은행이 2027년 중반부터 디지털 유로를 시범 발행하고 2029년 본격 상용화하는 구상을 발표하면서 유럽연합 회원국에 내년까지 입법에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디지털 유로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로서 비자와 페이팔 등 미국 결제망 의존도를 낮추고 독자적인 결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이 담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이 지난 7월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에 편입시키자 유럽 내에서는 글로벌 결제 시장에서 유럽의 설 자리가 없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으며, 다만 프랑스 의원들의 반대와 독일 은행들의 예금 인출 우려로 실제 도입까지는 난항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4. AI팩토리로 삼성·SK 칩 공정 업그레이드…“HBM4 공급 확대”

삼성전자와 SK그룹이 엔비디아의 블랙웰 GPU 각 5만 장을 활용해 반도체 공장을 AI 팩토리로 전환하고 엔비디아의 3차원 시뮬레이션 플랫폼 옴니버스를 기반으로 스스로 공정을 운영하는 세계 최고의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현할 계획이다. 옴니버스 플랫폼을 이용해 디지털 트윈에서 가상 공장을 만들어 막대한 데이터를 쌓아 실제 공장을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되며,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AI 컴퓨팅 기술 도입 결과 미세 회로 공정 시뮬레이션 속도가 20배 빨라졌다고 밝혔다. 양 사는 AI 팩토리를 통해 엔비디아와 거대한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HBM4 생산을 확대할 방침이며, LG전자(066570)도 엔비디아의 휴머노이드 추론 모델을 기반으로 자체 피지컬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 기사 바로가기: 엔비디아, 韓과 AI 동맹…블랙웰 26만장 푼다

▶ 기사 바로가기: 현대차·엔비디아 ‘피지컬AI’ 협력강화…30억弗 투자

▶ 기사 바로가기: 연말 대출절벽 현실화…삼성화재 주담대 중단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