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젠슨 황 “한국, 3가지 핵심 기술 가진 나라...기회 될 수 있는 시기”

2025-10-31

“한국, 소프트웨·AI·제조 역량 갖고 있어...AI 주권· 프론티어 국가 될 것”

“네이버에 GPU 6만 장 공급할 것...삼성·SK와 디지털 트윈 공장 협력”

“현대차 공장은 로봇이 자동차를 조립하는 로봇 공장 될 것”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한국은 가장 먼저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하는 나라가 될 것”이라며 “한국은 소프트웨어와 AI 기술, 제조 역량을 갖고 있는 몇 안 되는 국가”라고 밝혔다.

황 CEO는 이날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특별 세션에서 “세계적으로 3가지 기본 핵심 기술을 가진 나라가 몇이나 되느냐”며 “지금이 한국에게 기회가 될 수 있는 시기”라고 말했다.

그는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필요한 기술인데 한국이 많이 가지고 있다”며 “과학기술과 제조 역량도 갖고 있다. 소프트웨어와 제조 역량을 결합하면 로보틱스의 활용 기회가 많아지고 피지컬 AI의 차세대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체 공장이 디지털화되고 있고 슈퍼컴퓨터가 구축되고 있다”며 “공장 전체가 로봇으로 구동되고 그 로봇이 인간과 함께 구동하는 것, 로봇이 로봇을 조작하고 물건을 생산하는 게 바로 AI의 미래”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6개월 동안 AI 적용이 매우 가속화되고 있다”며 “AI를 통해 수익이 창출되고, 더 많은 공장이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AI를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에 들어갔다”고 진단했다.

황 CEO는 이날 삼성, SK그룹, 현대차, 네이버 등과 파트너십을 발표한 것에 대해 “훌륭한 발표를 했다. 한국에 많은 친구들이 있다”며 “우리는 한국에 AI 생태계를 조성하려 한다. 이제 한국은 AI 주권국가‧AI 프론티어 국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네이버에는 6만 장의 GPU를 공급하고 삼성과는 공장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해 AI 팩토리를 건설할 것”이라며 “SK그룹과도 디지털 트윈 공장을 만드는 데 협력하고, 현대차 공장은 로봇이 자동차를 조립하는 로봇 공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황 CEO는 “우리는 AI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카이스트 같은 한국의 학계와 스타트업과도 손을 잡고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엔비디아는 이날 정부와 삼성, SK그룹, 현대차그룹, 네이버클라우드 등에 26만 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