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종합투자계좌(IMA) 제도 도입 8년 만에 첫 인가를 받았다. 금융당국이 인가 후 1년 내 상품 출시를 조건으로 내걸면서 증권가의 초기 시장 주도권 경쟁도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Quick Point!
미래에셋증권·한국투자증권, IMA 제도 도입 8년 만에 첫 인가
금융당국, 1년 내 상품 출시 조건 부여
증권사 간 초기 시장 주도권 경쟁 본격화
19일 금융위원회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을 자기자본 8조원 이상 등 지정 요건을 충족한 종투사로 판단하고 IMA 업무 영위를 의결했다. IMA는 종투사가 발행어음과는 별도로 운용 가능한 계정을 추가로 확보해 다양한 투자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 2017년 도입 이후 실제 사업자 선정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회사가 동시에 인가되면서 제도 시행 직후 판도에도 관심이 쏠린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두 회사의 기존 발행어음 운용 방식이 달랐던 만큼 IMA에서도 전략 차이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2017년 발행어음 인가 후 조달 규모를 빠르게 키우며 시장 선점을 중시하는 공격적 전략을 지속해왔다. 미래에셋증권은 잔액 증가폭을 점진적으로 관리하며 안정성과 리스크 통제를 우선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왔다.
현재 조달 구조에서도 두 회사의 상황은 확연히 갈린다. IMA 사업자에게는 발행어음 한도(자기자본의 200%)와 별도로 자기자본의 100%까지 추가 조달이 허용된다. 이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은 발행어음 잔액이 한도의 80%대 후반까지 차 있어 추가로 확대할 수 있는 폭이 크지 않다. 3분기 말 기준 별도 자기자본이 10조5000억원으로 한도는 약 21조원인데, 실제 잔액은 18조7000억원 수준이다. 이는 2018년 4조원대에서 매년 20% 이상 증가해 현재 규모까지 확대됐다.
미래에셋증권은 발행어음 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같은 기간 별도 자기자본 10조4000억원 기준 최대 한도는 약 20조8000억원으로 추정되지만 실제 잔액은 8조3000억원 선이다. 한도 대비 절반 이상 여유가 남아 있어, IMA 인가로 조달 수단이 추가된 만큼 운용 여지가 더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조직과 시스템 준비에서도 온도 차가 나타난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번 인가에 맞춰 IMA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운용·전략 기능을 별도로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발행어음 한도가 사실상 포화된 상황에서 IMA를 새로운 조달 창구로 활용해 초반 시장에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반면 미래에셋증권은 IMA의 원금보장 성격과 손실 충당 구조 등을 고려할 때 보수적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 운용 손실이 발생할 경우 증권사가 자기자본으로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발행어음에서도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해온 만큼 무리한 조달 확대보다는 상품 구조 점검과 내부 위험관리 체계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 모두 빠르면 12월 초 IMA 시장 공략에 나서는 것을 목표로 준비 중이며, 조달 여력·상품 특성·위험관리 방식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라며 "상품 출시 전까지 양사의 전략 조정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블록딜 명가’ UBS가 코스닥 IPO에 참여한 이유는 [시그널 INSIDE]](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O2T55X_1.png)



![양진혁 삼정KPMG 전무 “슈퍼사이클 올라탄 반도체, 투자기회 더 많아질 것”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9/2H0IKYTWLF_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