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홍림 서울대 총장이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서울대 시진핑 자료실 폐지 여부는 서울대가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유 총장은 “시진핑 자료실에 정치적인 선전·선동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상당히 우려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교육위 소속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유 총장에게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방한 당시 1만 권 이상을 기증했다고 해서 목록을 받았지만 고대 그리스 로마 신화나 피카소의 저서, 심지어 시 주석이 스스로 쓴 ‘중국 공산당 90년사’ 등 관계 없는 도서가 많았다”면서 “이런 책을 우리 학생들한테 가르치는 게 맞느냐. 정리하실 생각이 없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유 총장은 “2023년부터는 중국 연구자들에게 희귀한 고문서를 요청해서 받고 있고, 중어중문학과와 협의해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는 자료들은 공유하기도 한다”면서 “시진핑 자료실 폐지에 대해 학내 의견이 다양하지만 정부와 함께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대 중앙도서 내 시진핑 자료실은 2014년 시 주석의 서울대 강연을 계기로 2015년 10월 시 주석으로부터 도서와 영상자료 등 1만 여 점을 기증받아 마련됐다. 국민의힘과 일부 시민들은 시진핑 자료실이 중국의 ‘샤프 파워’라며 폐쇄를 촉구해 왔다. 지난 5월에는 “시진핑 자료실이 왜 있느냐”며 삼단봉을 들고 난동을 부린 40대 남성이 공공장소 흉기소지죄 등 혐의로 기소돼 유죄를 선고받기도 했다.
유 총장의 답변 이후에도 시진핑 자료실 폐쇄와 관련해 여야의 논쟁이 이어졌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삼단봉을 꺼내 센터 직원을 위협하고 유죄를 선고받은 사건을 ‘멀쩡한 일반 시민이 시진핑 자료실이 잘못됐으니 폐쇄를 요구한 것’이라고 의견을 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시진핑 자료실에서 특별관리도서(중국 체제와 관련된 보안자료)가 11종인데 10년 동안 10회 미만 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학자들의 연구에도 시진핑 자료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2025 국감] 계엄 옹호 강연자·시진핑 자료실…서울대, 與野에 뭇매](https://img.newspim.com/news/2025/10/28/251028140659454_w.jpg)


![[2025 국정감사]공자아카데미부터 유담 교수 공정 채용까지…논란 중심 선 인천대](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044/art_17616375118884_a33a4b.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