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열차·일반열차에 이어 고속열차까지 센서 탑재
[충청타임즈] 운행 중인 KTX의 상태를 인공지능(AI)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해 안전을 강화한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KTX에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태기반 유지보수(CBM)’를 본격 추진한다.
CBM은 열차가 운행하며 차량 주요 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고장을 예측해 최적의 유지보수 일정을 수립하는 시스템이다.
부품의 잔여수명과 교체주기 등을 AI로 분석·예측해 필요한 시기에 정비할 수 있다.
코레일은 새로 도입하는 고속열차의 주요장치 15종에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탑재한다.
현재 4대가 시범 운행 중에 있으며, 내년 3월까지 10대에 추가 탑재할 예정이다.
탑재된 센서는 열차 운행 중 자동으로 공기압과 차축발열 상태, 부품 이상여부 등을 검측하고 유지보수 데이터를 수집한다.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고장나기 전 미리 정비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고속열차에 CBM을 도입함으로써 전동, 일반, 고속차량까지 모든 종류의 열차 안전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게 됐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코레일이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고속철도 유지보수 기술력에 AI와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더해 철도 안전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전 한권수기자 kshan@cc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