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내내 집중호우 “올여름 예상치 못한 일 발생해도 놀랍지 않아”

2025-05-07

여름 장마철에 주로 내렸던 집중호우가 최근에는 여름철 내내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여름 호우와 폭염, 강풍 등이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복합재해’가 나타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손석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7일 기상청에서 열린 ‘장마철 집중호우와 예보 변동성의 이해’ 기상 강좌에서 “과거 7~8월 중순 강수 피크가 사라지고 여름철 강수 휴지기가 줄어들었다”며 “여름철 지속적으로 비가 내리는데, 일상적인 비가 아니라 집중호우 발생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6-9월 동아시아 지역의 집중호우 발생 빈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의 여름철 집중호우 발생 빈도는 50년 동안 10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강수 발생 현황을 보면, 제주도와 남부·중부지방의 집중호우(시간당 30mm 이상) 발생 빈도가 두드러졌다. 특히 지난해에는 장마철 이후 시간당 100mm 이상 극한 호우가 16차례 관측됐다.

손 교수는 “수도권을 포함한 중부지방의 집중호우 증가 양상이 뚜렷하다”며 “해당 지역에 대한 꾸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했다.

집중호우의 발생 패턴도 달라지고 있다. 국내 집중호우는 전통적인 장마전선뿐만 아니라 이동성 열저기압형, 북태평양고기압 경계, 티벳고기압 상호작용형 등 다양한 패턴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집중호우 발생 패턴이 다양해지고 기후 변동성이 커지면서 기상 예보도 전보다 어려워졌다. 갈수록 잦아지는 집중호우의 경향성은 확인됐지만 구체적인 장마 시기, 집중호우 발생 시기 등 기상 예보 불확실성은 더 높아졌다.

기상청은 올해 여름 기온은 평년(23.4~24.0도)보다 높고, 강수량도 평년(622.7~790.5mm)을 웃돌 것것으로 보고 있다. 5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6~7월도 평년보다 대체로 높겠다고 예보했다.

손 교수는 “지난해 여름 전반기에는 집중호우가 잦았고, 후반기에는 역대급 폭염과 열대야가 발생했는데, 이런 사례가 과거에는 없었다”며 “이같은 복합재해의 발생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분명한 것은 올해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더라도 놀랍지 않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