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AI전략위원회가 대내외 업무에 문서협업툴·대체불가토큰(NFT) 등 기술과 소프트웨어(SW)를 적극 활용한다. NFT 위촉장이 대표적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위원회는 최근 최근 분과위원 80여명과 분과별 자문위원 100여명 대상 NFT 임명장을 전달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토큰이다. 2~3년 전 메타버스 서비스 활성화와 함께 기업에서 NFT를 발행했지만 기술사업화에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위원회는 디지털 문서 활용으로 페이퍼리스를 실현하고 주목도가 낮은 NFT 기술의 활용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NFT 위촉장을 채택했다. 정부 위원회 첫 NFT 활용 사례다.
앞서 위원회 민간위원 33명은 당연직 위원장인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위임장을 받았지만 분과위원, 자문위원은 이번에 NFT 위촉장을 받게 됐다.
복수의 분과위원과 자문위원은 “위원회 역할과 분과위원 업무 특성을 고려하면 디지털 위촉장은 당연할 수 있는데 잊혀져 가는 NFT를 활용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며 “기술산업 활성화에 대한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평가했다.
위원회 8개 분과와 3개 TF별 진행하는 각종 회의와 활동에 동시다발적인 의견 개진과 수정·편집이 가능한 문서 협업툴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분과·TF별 수십명의 외부 위원 편의성을 고려한 결정이다.
위원회 공식 업무에는 범정부지식관리시스템 '온나라' 등을 활용하지만 대외 업무 SW로 AI 기반 업무 자동화 지원툴 'NHN 두레이'를 채택했다. 실제 온·오프라인으로 매주 진행되는 회의와 의견 개진에 두레이를 활용하고 있다.
이달 중 발표 예정인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종합 정책 'AI액션플랜'의 초안 마련 과정에도 두레이를 활용, 빠르게 의견을 수렴하고 개진했다. 지난달 오프라인에서 이틀 간 워크숍을 진행했지만 이에 앞서 의견을 모으고 구체화하는 데 협업툴의 쓰임이 주효했다는 게 위원들 반응이다.
이같은 기술 기반 업무 환경 조성은 임문영 국가AI전략위원회 상근 부위원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 AI·디지털 정책을 주도하는 위원회가 공공 분야에서 다양한 기술 활용사례를 만들어 기술 기반 산업 진흥을 이끌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알림] AI시대의 새 리더십, 대한민국 길을 묻다…중앙포럼 19일 개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0/8dcefaae-9ff7-45c9-8af2-f6b1774d318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