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당이 사라지고 있다. 대신 서양식이나 일식, 중식, 패스트푸드 등의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식당이 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농림축산식품부의 ‘외식업체 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한식당 비중은 2018년 45.6%에서 2019년 45.0%, 2020년 44.2%, 2021년 43.6%, 2022년 42.9%, 2023년 42.6%, 2024년 41.8% 등으로 매년 감소세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3년 내로 이 한식업종 비율은 30%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한식이 빠진 자리는 일식, 서양식, 중식과 함께 피자·햄버거·샌드위치나 치킨점 등이 채우고 있다. 전체 외식업체에서 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1.5%에서 지난해 2.6%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서양식과 중식은 각각 1.7%에서 2.4%, 3.5%에서 3.9%로 늘었다.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은 2.4%에서 3.5%로, 치킨전문점은 4.9%에서 5.2%로 각각 확대됐다.
한식당 감소세는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한차례 타격을 입은 한식당들이 최근에는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감소, 배달 외식 증가, 재료비 상승 등과 같은 ‘삼중고’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이기성 목원대 외식조리·제과제빵학과 교수는 “같은 한식당이어도 한우 고깃집 같이 가격대가 높은 곳은 괜찮은 편이나 된장찌개, 김치찌개를 1만원 정도에 파는 식당은 편의점과도 소비층이 겹치는 실정”이라며 “한식당을 운영하는 분들이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시기보다 지금이 더 힘들다고들 한다”고 전했다.
배달 문화 확산과 배달료 상승도 한식당에 큰 타격이 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한국외식산업협회 관계자는 “족발이나 찌개류 외 다른 한식은 배달 선호가 떨어지는데 배달 수수료는 높다 보니 한식당들이 배달을 기피하고, 그렇다 보니 수익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일어난다”면서 “현 구조에선 피자, 햄버거 같은 프랜차이즈 업체들만 이런 배달 수수료를 내고도 버틸 여력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외식업체 경영실태 조사를 보면 ‘1일 평균 배달 수’ 질문 항목에 대해 한식당 74.7%가 “없다”고 답했다. 이는 한식·일식·중식·서양식 등 전체 일반음식점 업종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배달 앱 이용 여부에 대해서도 78.4%가 “이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또한 전 업종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의 경우 85.1%가 배달앱을 이용한다고 답했다.
급등한 식자재값도 한식당의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같은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한 ‘수익성·생산성 분석’에서 한식당의 매출 대비 식재료 및 인건비 비율은 71.1%로 평균(69.8%)을 웃돌았다.
서울 종로구 한 한정식 운영자는 “최근 2~3년 새 재룟값이 2배 이상 오른 것 같다”면서 “한식은 농수산물 재료가 워낙 다양하고 많이 들어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최소한으로 가격을 올리면서 버티지만 수지가 안 맞으니 주변의 한정식집들이 자꾸 없어지고 있다” 라면서 “남은 곳도 한그릇 음식 같이 재료가 적게 드는 쪽으로 메뉴를 바꾸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식당이 줄어드는 상황과 맞물려 다른 한쪽에서는 한식당의 프랜차이즈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자체 식당을 운영하기보다는 본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프랜차이즈를 택하고 있어서다.
김종백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정책홍보팀장은 “한식당이 어렵다고 하나 프랜차이즈업계에선 한식이 치킨, 커피와 더불어 3대 업종으로 꼽힌다” 면서 “개인이 본사 지원 없이 혼자 트렌드를 따라가며 메뉴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 보니 이제는 한식도 프랜차이즈로 많이 한다”고 말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