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미국의 관세 인상 압박 속에서 일본 정부가 선택한 '대미 투자' 카드가 일본 경제안보 전략의 일환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10일 TV아사히 프로그램에서 미일 협상에서 합의된 5500억달러(약 76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일본에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 사업에는 자금이 지원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카자와 재생상은 국제협력은행(JBIC)과 일본무역보험(NEXI)의 법적 제약을 언급하며, 일본 기업의 수익 확보와 국가 경제안보 강화가 투자 집행의 핵심 조건임을 분명히 했다.
즉, 단순히 미국 요구에 따라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 기업이 해외에서 새로운 시장과 기술 기회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공급망 안정 및 전략 자원의 확보로 연결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상이 가져온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는 의도와도 맞닿아 있다.
아카자와 재생상은 "그렇지 않았다면 일본은 연간 5조엔 규모의 세금을 일방적으로 부담하는 것에 그쳤을 것"이라며, 투자를 통해 관세 충격을 완화하고 일본의 국익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적 선택임을 설명했다.
이번 발언은 일본 정부가 단순히 대미 관계 관리 차원을 넘어, 경제안보를 축으로 한 실리적 접근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중 전략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일본은 미국과의 협력을 '일방적 양보'가 아닌 '상호 이익 확보'의 틀 속에 위치시키려는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