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된 대출규제 영향 등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하면서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이 최근 10년간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1∼9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집계됐다.
서울이 7.25%, 경기 5.23%, 인천은 7.8%의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서울 2.08%, 경기 0.99%, 인천 0.39%로 월세 상승률보다 눈에 띄게 낮았다.
수도권 월세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소폭 등락하다 임대차 3법이 시행된 2020년 1% 상승한 데 이어 2021년에는 4.26% 올랐다. 이후 2022년 5.54%, 2023년 5.25%, 2024년에는 4.09% 상승했다.
아파트 전셋값은 포스트 코로나 이후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2022년 0.04% 올랐다가 2023년 6.66% 하락했다. 반면 이 기간 월세은 전세시장과 무관하게 움직였고 계속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세 거래량도 증가 추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8월 전국 주택 월세 비중은 62.2%로 처음 60%를 넘어섰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4.1%로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앞서 6·27 대출규제로 전세자금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반전세 등 월세를 선택하는 임차인이 늘어난 바 있다. 이어 나온 10·15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고 2년 실거주 의무가 적용되면서 임대 물량이 줄어 전월세 가격 상승과 월세 비중 확대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규제 때문에 전세금을 대출받아 충당하기가 어려워졌고, 의무 실거주 요건으로 임대 매물이 줄고 어쩔 수 없이 월세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이라며 "정책에 따라 피해를 보는 주거 약자를 구제할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세 막힌 임차인, 월세로 내몰린다…144만원도 ‘싼 편’ [AI 프리즘*부동산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64RIAG_1.jpg)
![용도변경 미이행 '생숙' 최대 3만실…"추가 구제 없다" 선 그은 정부[집슐랭]](https://newsimg.sedaily.com/2025/10/28/2GZCRJ6NZ5_1.jpg)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28〉부동산대책에는 왜 AI를 안 쓰나?](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8/news-p.v1.20251028.93bf38e75a36476e82c6a77c0c606e2b_P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