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외주 강세, 주택건설 6% 급등
올해 '환자' 헬스케어 5% 약진
파월 잭슨홀 연설 시나리오 셋
"뉴스에 팔아라 이벤트 가능성"
이 기사는 8월 18일 오전 11시0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주식시장에서 종전까지 인공지능(AI) 관련 대형주의 그늘에 가려졌던 이른바 소외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투자자들이 이번 주 22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연설을 주목하고 있다.
◆순환매 탄력
지난주 주식시장에서 눈에 띈 움직임은 소형주를 비롯한 경기민감주의 강세다. 소형주 주가지수 러셀2000이 한 주 3% 올라 S&P500의 상승폭 0.9%를 대폭 앞질렀고 주택건설 업체(ETF 기준, ITB)의 주가는 5.6% 급등했다. 소매업체(XRT)는 3.5% 뛰었다.


종목 대다수가 고르게 상승하는 건전한 랠리가 연출됐다. S&P500 동일가중 지수가 한 주 1.5% 올랐고 미국 증시에서 올해 최악의 성과를 내는 헬스케어가 4.7% 올랐다. 지난달부터 전개된 순환매가 가속하는 흐름이다.
소외주들의 약진은 연준의 적극적인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과 미국 소비의 예상 밖 선전이 있다. 이달 앞선 고용통계 부진을 계기로 연준의 9월 '빅컷(50bp 인하)' 주장까지 대두된 적이 있다.
◆파월 연설 시나리오 셋
금리 인하 기대감이 순환매 동력의 한 축이 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오는 22일 파월 의장의 잭슨홀(21~23일) 연설을 주시 중이다.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투자자 사이에서는 인하 속도와 그 규모에 대한 단서 모색이 초점이 되고 있다고 한다.

과거 잭슨홀 연설은 연준 의장이 통화정책 방향 전환을 알리는 핵심 무대 역할을 해왔다. 파월 의장은 작년 8월 연설 당시에도 "정책 조정의 시기가 왔다"며 9월과 11월, 12월 3차례 금리를 인하한 바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현재 금융시장이 기대하는 금리 인하 폭(올해 2차례 인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으로 정책 방향을 예고할 가능성이 크게 예상된다. 공격적인 인하를 암시하면 되레 경제가 심각한 상황이라는 공포가 확산할 수 있다.
금융시장의 기대보다 느린 속도의 점진적 인하를 예고하거나 인하 자체에 대해 아예 언질을 주지 않을 가능성도 열려있다. 이 경우 이미 인하 기대감이 선반영돼 급등한 경기민감주를 둘러싼 기대가 급랭할 수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마이클 하트넷 전략가는 이미 주식시장이 연준의 친완화적 기조로의 전환 기대를 상당히 반영한 만큼 파월 의장의 연설은 '뉴스에 팔아라' 이벤트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일부는 매파적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도 점친다. 연준의 현행 '평균 인플레이션 목표제' 폐기 언급 가능성을 거론(웰스파고이코노믹스의 사라 하우스 이코노미스트)하면서다.
현재는 연준이 과거 인플레이션이 2% 미달했던 기간이 있었던 점을 염두에 두고 일정 기간 2%를 초과하는 것을 용인하는 방침을 갖고 있지만 앞으로는 2%를 넘었을 때 조속히 대응하는 '단순 2% 목표제'로 돌아갈 수 있다는 거다.
또 연준이 완전고용보다 인플레여선 억제를 우선시하는 방향으로의 정책 기조 전환 메시지가 전달될 가능성도 언급됐는데 이는 금융시장이 기대하는 금리 인하와 정반대 방향의 '매파적 전환'을 의미한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