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긍정적 신호'서 더 낙관적 표현…건설·수출은 우려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추가경정예산 집행의 효과로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되었다고 진단하며, 향후 경기 회복의 긍정적인 신호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서 “우리 경제는 여전히 건설투자 회복 지연,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로 인한 수출 둔화 우려가 있지만, 정책 효과로 소비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평가했다.
특히, 지난달 21일부터 지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1·2차 추경 효과가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초부터 “하방 압력 증가” 등 경기를 부정적으로 진단했으나, 6월 이후 ‘소비 심리 개선’이라는 긍정적인 표현을 추가했다. 이달에는 소비 심리 개선이 실제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고 판단하고 있다.
속보성 지표에 따르면, 지난달 카드 국내 승인액은 작년 동월보다 6.3% 증가했으며,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36.2% 늘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도 7월 110.8로, 6월보다 2.1포인트 상승했다. 6월 소매판매도 내구재에서 감소했지만, 준내구재와 비내구재에서 증가하며 0.5% 증가했다.
정부는 “소매판매 증가와 카드 승인액 증가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승용차 내수 판매 증가세 둔화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건설 경기 불황과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정부는 “추경을 신속히 집행하고,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기업 피해를 지원하고 통상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전국매일신문] 방지혜기자
BangG@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