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여파…외국인 취업자 4년만에 감소

2025-07-10

통계청, 2024년 국제인구이동통계 발표

E-9 인력 7만3000명…전년비 20% ↓

"경기 등으로 사업체 인력 수요 미발생"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지난해 경기침체에 국내 취업 외국인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목적 외국인 입국자는 주로 비전문인력에서 크게 줄었다.

특히 비전문취업(E-9) 비자 입국자는 7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20% 가까이 감소했다. 경기침체로 인한 인력 수요가 줄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국제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총이동자 규모는 132만9000명으로, 전년 대비 5만4000명(4.2%) 증가했다. 총이동자는 체류 기간 90일을 초과한 입국자와 출국자를 더해 구한다.

지난해 입국자는 72만7000명, 출국자는 60만2000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2만9000명(4.1%), 2만5000명(4.3%) 늘었다.

입국자 수에서 출국자 수를 뺀 국제순이동은 12만5000명 순유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는 전년 대비 4000명 증가했다.

국제순이동 수준은 2022년부터 순유입으로 전환, 3년 연속 증가세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1년에는 6만6000명 순유출해 16년 만에 입국자 수가 출국자 수보다 작았다.

외국인 입국은 45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2만9000명(-6.0%) 감소했다. 출국은 35만3000명으로 3만4000명(10.7%) 늘었다.

30대 이하 연령대부터 순유입을 기록했고 20대가 6만5000명으로 가장 컸다. 전 연령대로 보면 9만8000명 순유입으로 규모는 전년 대비 6만3000명 줄었다.

국적별 입국자는 중국이 11만2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8만8000명), 미국(2만3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3국 입국자는 전체 외국인 입국자의 49.6%를 차지했다.

체류자격별로는 취업이 16만4000명(36.4%)으로 가장 많았다. 전년과 비교하면 9000명(-5.1%) 감소했다. 취업 목적 외국인 입국자 수는 전문인력(E1~E7 비자)보다 비전문인력에서 크게 감소했다.

비전문인력을 보면 비전문취업(E-9) 입국자 수는 7만3000명, 방문취업(H-2) 입국자 수는 2만4000명으로 각각 전년 대비 1만8000명(-19.9%), 8000명(-26.1%) 감소했다.

전문 인력으로 입국하는 외국인 취업자 수는 1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3000명 줄어든 것에 그쳤다.

유수덕 통계청 인구추계팀 서기관은 "취업 관련 입국자는 코로나19로 이동 제한이 있던 2019~2020년 감소를 보였다가 그 이후 증가했다. 4년 만에 감소를 보인 상황"이라며 "취업 관련해서는 계절근로 체류자격 입국자는 증가했지만 반면에 전문인력과 비전문인력 취업 목적의 입국자는 전년보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유 서기관은 "E-9 쿼터를 2024년 확대했으나 실제 입국 기준으로 (인력이) 도입된 규모는 감소했다. 송출국 상황, 국내 현장과 경기 상황 등의 작용으로 사업체에서 (인력) 수요가 발생하지 않은 것"이라고 해설했다.

취업에 이어 유학·일반연수(9만9000명·21.9%), 단기(7만3000명·16.1%), 영주·결혼이민 등(5만9000명·13.1%)을 사유로 한 입국도 많았다.

입국자 국적과 체류자격을 모두 살피면 중국은 재외동포(27.3%), 일반연수(21.9%), 취업(21.4%) 순으로 높았다. 베트남은 취업(44.1%), 미국과 태국은 단기 체류자격 입국자 비율이 50.4%, 56.4%로 가장 많았다.

외국인 출국은 중국(10만3000명), 베트남(5만5000명), 태국(3만5000명) 순으로 많았다. 이들 3국 출국자는 전체 외국인 출국자의 54.7%를 차지했다.

내국인 입국자는 27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5만8000명(26.5%) 증가했다. 출국자는 24만9000명으로 전년 대비 9000명(-3.5%) 감소했다.

내국인 순이동은 2만8000명 순유입하면서 전년 순유출에서 전환됐다. 연령대별로는 30대부터 순유입했고, 순유입 규모는 50대(1만3000명)에서 가장 컸다.

유 서기관은 "과거 30~40대 내국인 이동을 보면 코로나19가 완화하면서 이 연령대의 출국이 많았다. 일정 기간 체류한 후 본국으로 만료하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sheep@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