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급증하는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해 실용적인 에너지믹스 정책을 펴겠다고 밝혔다. 기존 원전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과 함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도 균형있게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남은 임기동안 경제 성장에 집중하고, 한미 관세 협상도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마무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원전 등 에너지 정책 방향과 관련해 “무슨 정책을 놓고 이념 전쟁을 하면 안 된다”며 “저는 철저히 실용주의잔데, 저도 안 그러겠지만 상대 쪽도 안 그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 이후 탈원전 정책으로 회기하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이념 대결을 넘어 실용주의 에너지 정책으로 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만 신규 원전 건설 축소 가능성은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AI)에 적용하거나 데이터센터를 설치하거나 이런 데 엄청난 전력이 필요해 원전이 필요하다고 얘기한다”며 “그런데 (이 같은 주장에는) 맹점이 있다. 원전을 짓는데 최하 15년이 걸리고 지을 곳 또한 현재 한 곳 밖에 없다. 소형모듈원전(SMR)은 아직 기술 개발이 안 됐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재생에너지 확대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당장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그 전력을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은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라며 “탄소 제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때문에 추가로 화력발전소도 건설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남은 임기동안 경제 성장에 집중하겠다는 비전도 강조했다.
모두발언에서 “남은 4년 9개월은 도약과 성장의 시간”이라며 “우리 경제가 다시 성장하고 대한민국이 힘차게 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또 혁신경제와 공정경제를 성장의 핵심 축으로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로 진짜 성장을 추진하고, 성장 결실을 모두가 나누는 모두의 성장을 이뤄내겠다”며 “기본이 튼튼한 사회를 구축해 국민의 삶도 빈틈없이 지켜내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한미 관세 협상의 최종 타결 시점을 묻는 질문엔 협상의 어려움을 토로하면서도 “분명한 것은 어떤 이면 합의도 하지 않고 국익에 반하는 결정을 절대 하지 않고 합리성과 공정성을 벗어난 어떤 협상도 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현장의 한국인 체포 구금 사태를 두고는 “당황스럽다”면서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에 상당히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 대주주 기준과 관련해선 “주식시장 활성화는 새로운 정부의 경제 정책 중 핵심인데, 주식 양도세 강화로 장애를 받게 할 정도라면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