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성' 표현 빠진 日 사도광산 추도식···대통령실 "만족스럽지 않은 결론, 협의해 나갈 것"

2025-09-13

(대구=뉴스1) 공정식 기자 = 13일 대구 남구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 극재미술관을 찾은 시민이 사진기록연구소 광복 80주년 기획전 '잊혀진 이름 남겨진 자리-조선인 강제동원의 기록'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기록연구소(소장 장용근)가 광복 80주년 기획으로 마련한 이 전시에는 사진작가 5명이 지난해 일본 전역에 흩어져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 60여 곳을 답사해 기록한 사진 70여 점을 선보인다. 참여한 작가들은 일본 최남단 오키나와(沖??)에서 규슈(九州), 시코쿠(四?), 혼슈(本州), 홋카이도(北海道)까지 7000㎞가 넘는 거리를 이동하며 가슴 아픈 역사의 현장을 기록했다. 전시는 24일까지 계속된다. 2025.8.13/뉴스1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대구=뉴스1) 공정식 기자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올해도 조선인들의 강제 노동에 대해 언급하지 않아 '반쪽짜리' 행사가 치러진 가운데 대통령실이 "기존 입장에 따라 앞으로 일본 측과 계속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측은 13일 "우리 정부는 추도식이 그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을 갖추어 온전하게 치러져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올해 만족스러운 결론에 이르지 못했지만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야한다는 기본 입장 아래에서 상호 신뢰와 이해를 쌓으면서 여건을 갖추어 나갈 때 과거사 문제를 포함한 협력의 질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여긴다"고 강조했다.

사도광산은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있는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 현장이다. 사도광산 추도식은 지난해 7월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한국이 이를 수용하는 대신 일본이 약속한 조치 중 하나다.

지난해 일정이 미뤄져 11월 행사가 열렸는데 당시 일본이 추도사에 '징용의 강제성'을 인정하는 표현 추가를 거부하면서 행사 하루 전 정부가 불참을 결정했다. 올해도 일본은 추도사에 '강제성' 관련 표현 삽입을 하지 않기로 하자 정부가 행사 불참을 결정했고 외교부가 지난 4일 불참 의사를 일본 정부에 공식 전달했다.

한편 우리 정부는 올해 일본 현지에서 별도로 추도식을 연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에도 정부는 사도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추도식을 별도로 열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