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이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추도식에서도 조선인들의 ‘강제 노동’을 언급하지 않은 것을 두고 “우리 정부는 추도식이 그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을 갖추어 온전하게 치러져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13일 대통령실 관계자는 “앞으로도 일본 측과 계속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며 “올해 만족스러운 결론에 이르지 못했지만,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는 기본 입장 하에서 상호 신뢰와 이해를 쌓고 여건을 갖춰 나갈 때 과거사 문제를 포함한 협력의 질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사도광산 추도식은 지난해 7월 일본이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한국의 협조를 얻는 과정에서 합의됐다. 당시 한국 정부는 일본이 사도광산 ‘전체 역사’를 반영해 알릴 것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올해 추도식에서도 조선인 강제동원이 언급되지 않았다. 정부 설명대로면 일본 정부가 약속을 어기는 상황이다.
정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추도사에 강제성과 관련한 표현이 담기지 않을 것으로 보고 불참을 통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