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청산·개헌과 사회대개혁 전남비상행동, 리박스쿨 사태 책임 촉구 기자회견
[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최근 전남 지역 일부 학교에서 극우 성향의 역사왜곡 교재로 알려진 '리박스쿨'이 교육 현장에 유입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전남도교육청의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
내란청산·개헌과 사회대개혁 전남비상행동은 5일 전남교육청 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의 침묵은 민주주의에 대한 침몰"이라며 전남교육청이 극우 단체의 역사 왜곡 시도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만을 고수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문제의 핵심은 단순히 교재 한 권에 있지 않다"며 "극우 역사왜곡 단체가 제작·배포한 교재 및 프로그램이 전남지역 교육현장에 은밀히 들어왔다. 이는 단순한 행정 착오가 아닌, 지역사회의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심각한 사안임을 직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전남의 19개 학교 및 교육기관 도서관에 해당 교재가 비치됐다며 교육청의 관리 부실과 미온적인 대응을 강도 높게 질타하며 "문제가 불거진 후에도 교육청은 일부 프로그램만 제한적으로 운영됐다고 해명했을 뿐, 제대로 된 전수 조사와 실태 파악 없이 방치해왔다"며 "책 한 권만 치우는 임시 조치로는 유사한 사태가 재발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단체는 ▲문제 교재 유입 경로와 전과정 전면조사▲향후 유사 교재 차단 위한 검증시스템 구축▲민주시민교육 확충▲예산과 조직 및 제도 정비 등 실질적이고 구조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번 사안은 단순히 한 권의 도서를 치우는 문제로 축소될 일이 아니라 전남교육청 차원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역사 왜곡 시도와 극우 세력의 침투를 뿌리 뽑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3일 김대중 교육감은 공식 입장문을 내고 '리박스쿨' 도서 논란과 관련해 도민과 교육 가족에게 사과했다. 김 교육감은 제주 4·3과 여수·순천 사건의 진실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며 피해자와 유가족의 고통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