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회장 김병준)는 12일 서울 중구 사랑의열매회관에서 ‘나눔문화아카이브’의 디지털 개관을 공식 선언했다.
‘나눔문화아카이브’는 사랑의열매가 1998년 창립 이후 27년간 쌓아온 나눔 문화의 발자취를 디지털 기술로 집대성해 국민 누구나 접근하고 공유할 수 있는 열린 기록 플랫폼으로 구축한 데 의미가 있다.
사랑의열매는 2022년부터 나눔문화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정보화전략(ISP) 연구, 수집 전략 연구, 구술기록 수집, 소장기록 정리, 시스템 구축 등의 단계를 거쳐 추진해왔다.
3년에 걸친 준비 끝에 개관한 이번 아카이브에는 1998년부터 현재까지의 사랑의열매 활동 기록을 비롯해, 우리나라 기부문화 확산에 영향을 준 주요 제도와 사건, 인물 자료 등이 포함됐다.
현재 약 1만여 건의 기록이 수집돼 있으며, 이 중 6천여 건이 우선 공개됐다. 기록은 연표, 인물, 사업, 상징, 조직 정보 등으로 연계돼 검색·열람이 가능하며 문서, 간행물, 보도자료, 사진, 영상, 음성, 박물류, 전자기록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된다.
특히 ‘희망나눔캠페인’, ‘코로나19 사회백신캠페인’, ‘나눔문화연구소 연구자료’ 등 주제별 컬렉션과 온라인 기록전시 콘텐츠를 통해 시대별 나눔의 변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나눔문화아카이브’ 디지털 개관을 기념한 ‘오픈포럼’은 사랑의열매 김병준 회장의 선언으로 막을 열었다. 김병준 회장은 ‘공동체의 미래를 여는 나눔의 기억’을 주제로 디지털 개관을 선포했다.
이날 포럼에는 이용철 국가기록원장, 신동호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자원과장, 윤수경 초대 사무총장 등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설문원 부산대 명예교수는 ‘나눔문화아카이브의 사회적 가치와 미래’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으며, 강철희 연세대 교수는 ‘나눔문화 기록 보존으로서의 모금회 아카이브의 의미’를, 김의욱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장은 ‘자발적 참여의 기억이 만드는 시민사회’에 대해 발표하며 나눔기록의 공공성과 시민 참여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같은 날 ‘나눔이 꽃피는 기억의 정원’을 주제로 한 디지털 개관 기념 기록전도 개막됐다.
사랑의열매회관 1층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2026년 2월 20일까지 진행되며, ‘희망, 나눔, 기억, 참여’를 주제로 사랑의열매가 걸어온 나눔의 여정을 시각적으로 되돌아본다.
특히 전시관 내 구술관에서는 사랑의열매의 역사를 함께 만들어온 인물들을 영상으로 만날 수 있다. 초대 사무총장 윤수경, 18호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 박점식, 홍보대사 황기순 등 5인의 구술자가 참여해 설립 초기, 제도화 과정, 기부문화 확산 등 사랑의열매의 성장 과정을 생생히 들려준다.
김병준 회장은 “사랑의열매의 27년 역사는 단지 한 기관의 기록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함께 써 내려온 나눔의 역사”라며 “나눔문화아카이브를 통해 그 기록을 한데 모아 국민 누구나 보고 기억하며, 다음 세대와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IT서비스학회 추계학술대회] 'IT서비스 공로대상'에 이봉규 연세대 교수…단체·개인 혁신상 대거 시상](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2/news-p.v1.20251112.7412d3a5f9074fbc9bdb28e714c037a5_P1.jpg)
!['비정형 데이터 자산화' 퀀텀에이아이, 73억원 투자 유치 [투자 ABC]](https://newsimg.sedaily.com/2025/11/12/2H0FCHBL91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