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민기] 나왔다하면 '품절 대란'⋯다이소로 보는 가성비 전쟁

2025-08-30

생활물가 부담 속 전 세대 확산…‘가성비 쇼핑’ 일상화

화장품·영양제 ‘품절템’ 속출…중고거래서 웃돈 거래까지

이마트·편의점까지 초저가 전쟁 가세, 생활필수품 가격 경쟁 치열

유행은 돌고 돈다. 빨라도 너무 빨리 돈다. 괜히 아는 척한다고 "요즘 유행인데 몰랐어?" 이야기했다가 유행이 끝나 창피당하는 일도 다반사다. 트렌드에 민감한 기자들, 트민기가 떴으니 이제 걱정 없다.

이 기사를 읽는 순간에도 SNS,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많은 유행이 올라오고 트렌드가 진화한다. 트민기는 빠르게 흐름을 포착해 독자에게 전달하는 게 목표다.

생활용품부터 화장품, 영양제까지⋯. 다이소가 내놓는 5000원 이하 제품은 매번 ‘완판 행렬’을 이어가며 소비자들의 발길을 붙잡고 있다. 최근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청년층부터 고령층까지 모두 얇아진 지갑 사정 탓에 ‘가성비 쇼핑’이 하나의 생존 전략으로 자리 잡은 모습이다.

실제 다이소는 2013년 영업이익률이 1%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9%대로 급등했다. 생활 잡화 위주의 저가 점포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화장품·영양제·캠핑용품 등으로 상품군을 확장한 결과다.

대표적으로 2000원대 립밤이나 3000원대 쿠션팩트 같은 화장품은 출시와 동시에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 입소문을 타며 ‘품절템’으로 떠올랐다. 최근 선보인 5000원 미만 영양제는 “약국보다 싸다”는 반응 속에 ‘알뜰 건강템’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픈런’ 현상이다. 화장품이나 생활용 전자기기 등 한정 수량으로 공급되는 제품은 판매 당일 품절되는 사례가 잦아졌다.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에도 “다이소 ○○템 구해요”라는 글이 줄을 잇는다. 정가보다 비싼 웃돈 거래가 붙기도 하면서 다이소 리셀 시장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다이소가 시작한 가성비 열풍은 다른 유통업계로 확산하고 있다.

대형마트인 이마트는 초저가 전용 라인 5K 프라이스를 내세워 생활 필수품을 5000원 이하로 공급하기 시작했다. 라면, 세제, 휴지 등 생필품부터 일부 화장품까지 포함되면서 소비자 선택지를 넓혔다.

편의점 업계 역시 1000~2000원 대 자체 브랜드(PB) 음료와 간식을 늘리며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CU는 개당 480원에 불과한 ‘득템라면’을, GS25는 개당 1000원인 ‘혜자백미밥’을 발매하는 등 최저가 경쟁에 돌입한 모습이다.

다이소는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가성비 플랫폼으로 변모하며 유통 시장의 지형도를 바꾸고 있다. 품절 대란이 일상이 된 다이소 발 가성비 전쟁은 이제 대형 유통사와 편의점까지 끌어들이며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