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형 크립토(K-Crypto) 생태계의 글로벌 확장 전략이 시급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혁신, 자산 토큰화 활성화, 한국형 규제 프레임워크 정립이 향후 디지털자산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류혁선 카이스트 교수는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두나무 주최로 열린 '디콘 2025'에서 “K-POP의 글로벌 확산처럼 K-신드롬은 디지털자산 생태계에서도 재현될 수 있다”며 “기술·인력·플랫폼·자본이 함께 성장하는 생태계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국내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법인·외국인 참여 확대를 통해 기관 중심의 시장 구조로 전환하고, 양방향 주문을 활성화해 극단적 변동성을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장지수펀드(ETF)·파생·수탁 등 생태계 설계 중요성도 강조됐다. 류 교수는 “ETF만 존재하면 일방향(롱) 투자에 그친다”며 “파생상품이 있어야 변동성 관리와 헤지, 차익거래가 가능해지고 가격발견·유동성·리스크 관리에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디지털자산 기반 파생상품이 허용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그는 “해외 원정 거래와 감독 사각지대만 키우고 있어 사회적 비용이 투자자 보호보다 커지는 역효과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류 교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자산 거래는 물론 토큰증권·채권·부동산 등 실물 기반 자산의 결제·정산·증거금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다”며 “온체인 기반 원화 결제 생태계를 구축해 장기적으로 원화 디지털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 그는 “금가분리, 법인·외국인 제한 등 과거 규제도 글로벌 자본시장과 정합성 있게 재설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정호 명지대 교수는 '디지털자산이 바꾸는 글로벌 금융 생태계' 발표에서 “한국 경제는 저성장 고착화, 신성장동력 부재, 수출 여건 악화 등 구조적 제약에 직면해 있다”며 “경제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금융산업의 수익성과 선진성 제고가 국가 성장률을 높이는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디지털 기술이 산업 구조를 바꾸고 있는 사례로 자동차 산업을 언급하며 “차량 산업은 하드웨어 판매 중심에서 구독형·소프트웨어 기반 비즈니스 모델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달러 중심권 종속이 강화된 만큼 원화 약세 방어·수출 구조 대안 모색·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금융 육성이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개회사에서 “스테이블코인이 촉발한 결제 혁신, 자산 토큰화에 따른 자본시장의 디지털 전환, 새로운 투자 전략이 금융 작동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며 “산업 구조 전환의 성공 방정식을 다시 적용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유민 기자 newmin@etnews.com

![[ET단상]조각투자와 STO, 유통 인프라 확충 이후의 과제](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2/news-p.v1.20251112.0761a196fa3c46b3a14933c6763614d2_P2.png)
![아마존·구글·메타…"美 M7 AI 투자 내년에도 이어질 것"[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1K9779_1.jpg)



![[헬로T부동산] 해외 사례로 본 시장 통제의 부작용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147/art_1763511668972_40b6c7.jpg?iqs=0.22073037602015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