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 출범
해상풍력발전 보급량 0.35GW 그쳐
4.1GW 규모 프로젝트 조기에 추진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정부가 해상풍력발전 인허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재명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국정과제로 선정하면서 해상풍력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10일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 회의를 개최했다.
해상풍력은 삼면이 바다인 국내 입지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으로서 평가되고 있다. 탄소중립, AI 시대를 견인할 주력전원이자 조선과 철강 등 연관 산업의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운영중인 해상풍력은 총 0.35GW 수준이다. 원전이나 화력발전 1기에도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정부는 지난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 도입 후 총 4.1GW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하지만 복잡하고 까다로운 인허가 절차로 인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에 해상풍력특별법을 제정해 지난 3월 공포했으며, 보급 활성화를 위해 관계부처가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초기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복잡한 인허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등 주요 애로를 해소하고, 향후 국내 해상풍력의 보급 가속화 기반을 조성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모든 전문가가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 타임이라고 얘기하고 있다"며 "낙찰 사업 4.1GW 성공적인 정착이 앞으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의 전체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시기를 실기하지 않기 위해 관계부처 모두가 원팀이 되어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보, 금융지원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