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고채 금리 상승과 대규모 카드채 발행이 겹쳐 캐피털사의 자금조달 비용이 급등하고 있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만기가 2028년 12월인 우리금융캐피탈 회사채 500억 원어치가 7일 민평금리보다 0.1~0.14%포인트 높은 연 3.34%에 거래됐다. 만기가 2027년 2월인 채권은 민평금리를 0.12%포인트 웃도는 수준에서 400억 원이 체결됐다.
6일에는 하나캐피탈 채권(2027년 12월 만기)과 KB캐피탈채(2027년 11월 만기) 등이 민평금리보다 0.1%포인트 높은 금리에 거래됐다. 상대적으로 인기가 높은 은행계열 캐피털사임에도 수요가 부족해 금리가 오르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채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0.1%포인트 높여서 내놔도 수요가 없어 체결되는 거래가 적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금리인하 기대감이 낮아져 국고채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특수채인 한국농어촌공사 5년물과 한국전력 채권 3년물이 민평금리 대비 0.1%포인트 높은 금리에 발행되면서 채권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수신기능이 있는 은행권과 달리 상시적으로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을 차환해야 하는 캐피탈사 입장에서는 악재"라고 했다. 당장 이달에도 11일~12일 하나캐피탈, 13일 우리금융캐피탈, 14일 케이비캐피탈채의 만기가 돌아온다.



![[ET시론]방송통신발전기금의 역설: '발전'의 이름으로 투자를 억제하는가?](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7/news-p.v1.20251107.f3ca3181bc1042568a88e5ac9647734a_P3.jpg)
![[GAM]'IPO 흥행' 베타 테크 ② '하늘의 테슬라' 길게 보고 매수](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