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영국의 실업률이 코로나 팬데믹 이후 거의 5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작년 7월 집권한 노동당 정부의 급격한 세금 인상과 고질적인 인플레이션, 고금리, 둔화된 성장 전망 등으로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줄이고 기존 직원을 감축하는 긴축 경영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경제계 안팎에서는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다음달 18일 열리는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영국 통계청(ONS)은 11일(현지 시간) 올해 7~9월 3개월 동안 실업률이 5.0%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달에 발표한 3개월(6~8월) 실업률 4.8%보다 0.2%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 4.9%보다 0.1%포인트 높았다.
일간 가디언 등 영국 언론들은 이 같은 실업률 수치에 대해 코로나 팬데믹이 한창이던 지난 2021년 1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일제히 보도했다.
급여 수급자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까지 1년 동안 회사에서 급여를 받는 근로자는 11만7000명 줄었고, 지난 8월보다 3만2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 성장률도 둔화됐다. 보너스를 제외한 주당 소득의 연간 증가율은 지난 9월까지 3개월 동안 4.6%로 둔화됐다. 지난달 조사된 6~8월 수치 4.8%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재계 지도자들은 정부가 지난 4월부터 고용주 국민보험료를 250억 파운드 더 걷고 국민 최저임금을 인상함으로써 일자리가 줄어들고 고용 수요가 감소했으며, 특히 파트타임 고용과 호텔, 레저, 소매 부문의 일자리가 타격을 입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국상공회의소 공공정책 부국장 제인 그래튼은 "기업이나 정부 모두 오늘 발표된 데이터에서 위안을 얻지 못할 것"이라며 "고용주들은 치솟는 고용 비용으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으며, 우리는 그 결과를 목도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WPI 스트래티지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틴 벡은 "다가오는 예산안에 새로운 세금 인상이 포함될 경우 고용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레이철 리브스 재무장관이 이번에는 고용주보다는 소득자를 타깃으로 삼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
리브스 장관은 오는 26일 향후 예산 정책을 발표할 예정인데, 경제계에서는 300억 파운드(약 57조7000억원)에 달하는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해 대규모 세금 인상 방안이 담길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영란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는 관측이다. 영란은행은 지난 6일 기준금리를 4%로 동결했다. 당시 통화정책위원회(MPC) 위원 9명 중 5명이 동결에, 4명이 인하에 표를 던졌다.


![[투자의 창] 완만한 회복, 지속되는 긴장](https://newsimg.sedaily.com/2025/11/10/2H0EFSCCAN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