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독자 AI 등 민·관 협력으로 GPU 20만장 확보”

2025-09-09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30년까지 민·관 협력으로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20만장 확보를 제안했다.

배 장관은 9일 서울 명동 르메르디앙에서 열린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에서 “기업 등 국내에서 구체적인 GPU 수요를 확인해봐야겠지만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도전적 목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며 과기정통부 내에서 이같은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국내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확실한 성과를 당부했다. 5개 정예팀이 경쟁력 있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국민 모두가 AI를 쉽게 사용하는 '모두의 AI'는 물론, 공공 AX (AI 전환) 분야 등에 독자 AI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취지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산업 경쟁력과 삶의 질을 올리는 국민을 위한 AI를 실제 만들 것”이라며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우리 기술과 데이터로 AI 모델을 만들지 못하면 AI 3강 달성은 모래성과 같다”며 독자 AI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도전적 목표를 세웠기에 통신강국, D램 1위, 자동차 세계 톱3 등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AI 독립의 씨앗을 독자 AI가 뿌릴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K콘텐츠가 주목 받는 시점에 AI가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글로벌로 나갈 수 있도록 기술과 사업적으로 역량을 발휘하고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임우형 LG AI연구원 원장은 “최종 1·2등이 아닌 기업도 경쟁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국민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결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착수식에서 5개 정예팀에 독자 AI 모델 프로젝트를 상징하는 'K-AI' 앰블럼도 전달했다.

배 장관은 “AI 정예팀 대상 거대언어모델(LLM) 개발도 중요하지만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2~3년 내 멀티모달 AI 성과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