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실 찌든 때를 한 번에 지우겠다며 락스를 세정제와 함께 사용하는 행동이 사망 사고까지 부를 수 있는 위험한 습관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최은정 이화여대 과학교육학 박사는 8일 유튜브 채널 ‘의사친’에 출연해 “락스의 문제는 염소 기체가 발생하는 것”이라며 “욕실 세정제나 세제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라고 말했다.
락스와 산성 세정제(식초·구연산 등) 또는 주방·욕실용 세제를 혼합하면 강한 독성을 띠는 염소가스가 발생한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살상용으로 쓰였던 독가스와 동일한 성분으로, 일본에서는 주부가 세정제와 락스를 섞어 청소하다 사망한 사례도 있다고 최 박사는 밝혔다.
단순히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도 소용없다. 최 박사는 “염소가스는 마스크를 통과한다"며 "KF-94 마스크로도 걸러지지 않을 정도로 입자 크기가 작다”고 설명했다.
락스의 강염기성도 위험 요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최 박사는 과거 방송 실험 준비 중 락스에 장시간 노출된 뒤 화학성 폐렴 판정을 받았다"며 “폐포 사이사이에 스며드는 가스라 잘 빠져나가지 않는다. 약도 마땅치 않아 일주일 넘게 고생했다”고 자신의 경험을 빗대어 설명했다.
이어 “락스에 머리카락을 담가두면 15분 만에 녹는다”며 그만큼 단백질 분해력이 강하다고 말했다. 시중에 판매되는 ‘순한 곰팡이 제거제’ 역시 성분 대부분이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락스와 사실상 동일하다고 덧붙였다.
최근 ‘소금으로 만들어 안전하다’는 문구가 붙은 세정제가 유통되는 것에 대해서도 그는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은 소금과 전혀 다른 물질”이라며 “나트륨이 들어간다고 해서 안전하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베이킹소다와 과탄산소다 등 ‘소다’류 역시 이름만 비슷할 뿐 특성이 완전히 다르며, 과탄산소다는 일반 베이킹소다보다 훨씬 강한 염기성을 가진다.
최 박사는 락스를 쓰지 않고 욕실 청소를 하는 법을 제시했다. 그는 과탄산소다를 50~60도 정도의 따뜻한 물에 녹이거나 필요할 경우 치약을 소량 섞어 사용하면 연마 효과가 생겨 찌든 때 제거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행주는 물에 적신 뒤 전자레인지에 30초~1분 돌리면 충분히 소독되며, 샤워기 헤드의 물때 제거에는 락스보다 구연산 용액을 쓰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베이킹소다는 찌든 때 제거용이 아니라 평소 관리용으로 쓰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가정에서의 락스 사용은 추천하지 않는다”고 거듭 강조했다. 급식실 등 집단 시설은 감염 관리 목적상 락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 가정은 락스 없이도 충분히 청소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최 박사는 “밖에서도 어느 정도 노출되고 집에서도 또 노출
![[사이언스온고지신]면역이 흐를 때 몸은 낫는다, 어혈의 렌즈로 본 루푸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0/news-p.v1.20251110.ccb8a992fa464df18f0de593ea61318b_P1.png)



![[전문가 칼럼] 교통사고 후유증 특이 사례](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0729/shp_17525398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