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용·성형 의료 플랫폼 ‘강남언니’에 올라온 병원 광고 문구다. 앱 안에서 후기와 시술 전후 사진을 마치 음식 배달앱처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걸 두고 의료계는 “명백한 의료광고”라며 반발이 컸다. 의료인이 아닌 자가 의료기관 정보를 광고하는 행위는 불법이지만 사용자가 직접 쓰는 후기가 광고일지는 모호하다는 게 쟁점이었다.
회색지대에서 신산업을 설계하는 주체가 기업이라면, 그 설계를 제도권으로 연결하는 실무가 바로 대관(對官)이다. 업계 대관팀은 데이터·사례·경제효과를 앞세워 정부와 국회를 설득했고, 각종 토론회를 주도해 ‘정책의 무대’를 직접 만들었다. 청탁이나 로비가 아니라 입법과 행정의 사이에서 산업 논리를 정제하고 규제의 흐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 것. 이 과정에서 보건복지부(2021년), 경제규제혁신TF(2022년), 공정거래위원회(2023년)가 잇따라 의료 플랫폼 기업의 손을 들어줬다.
강남언니 운영사 힐링페이퍼의 황조은 대외정책이사는 “단순히 ‘규제를 풀어 달라’는 게 아니라 업(業)의 정당성과 공공의 실익을 설득하는 게 대관의 무기”라고 말한다. 그렇게 설득에 성공한 이 업체는 일본·태국 등 6개국으로 진출했고, 현재는 한국관광공사와 손잡고 ‘K뷰티 의료관광’ 영역으로도 확장 중이다.


![[기고] 과학자 창업주의 상표보호전략, 기술보호만큼 중요하다](https://img.newspim.com/news/2025/09/09/25090914192090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