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투자 환영하던 켐프 주지사
단속 날엔 “연방 이민법 집행”
언론 “美 한인들 깊은 배신감”
한국 기업들의 투자를 적극 유치하며 경제 특수를 본 미국 조지아주에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근로자 300여명이 무더기 구금되자 한인사회가 혼란에 빠졌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미 당국이 조지아주에서 이뤄진 대대적인 불법 근로 단속으로 조지아주 경제가 성장 둔화 위협에 직면했다고 보도했다.

조지아주는 최근 몇 년 새 한국 기업을 유치하며 경제 성장을 이룬 대표적인 지역이다. 인구조사 추정치에 따르면 조지아주 서배너 교외의 작은 마을인 풀러의 인구는 2020년에서 2024년 사이 22% 급증했다. 증가분 절반은 한국인 이주자로 추정된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가 “한 세대에 한 번 올 기회”라고 지칭한 현대차그룹의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인근 엘라벨에 건설되면서 한국인 근로자들로 새로운 한인 커뮤니티가 조성된 결과다. 조지아주에는 100여개의 한국계 기업이 있으며, 지난해 기준 1만7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다.
켐프 주지사는 단속 하루 전날인 3일에도 한국과의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한 기업이 약 2억2300만달러(약 3100억원)를 투자해 콜럼버스에 희토류 자석 공장을 설립한다는 소식을 발표하면서 “다양한 산업에서 미국의 공급망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도 이날 “한국과의 파트너십은 혁신과 기회의 원동력”이라고 치켜세웠다.
그러나 단속 당일 켐프 주지사는 “조지아에서는 모든 주 및 연방 이민법을 포함한 법을 항상 집행할 것”이라며 돌변했다.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에 현지 한인사회는 “한국 기업이 미국에 막대한 투자를 했음에도 이뤄진 단속에 배신감을 느꼈다”고 WSJ는 전했다. 미국 시민권자이자 이 지역 목회자인 김호성씨는 “긴장감이 극에 달했다”며 “이번 단속은 한국 교민들의 자부심에 큰 상처를 냈고, 두려움과 분노를 가져다줬다”고 말했다. 조다혜 서배너 한인회장도 BBC에 “나에게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의 이미지에도 매우 충격적인 일”이라고 토로했다.
권이선 기자 2s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