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韓 배터리·선박 인력 불러 미국인 훈련해야”

2025-09-08

韓근로자 구금 재발 방지 대책 시사

“양국 관계 좋아” 비자 문제 해결 의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조지아주(州)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의 한국인 근로자 대규모 단속이 한·미 관계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산업현장에 필요한 외국 인력이 “신속하고,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혀 이번 단속으로 불거진 비자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취재진을 만나 지난 4일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을 체포, 구금한 것이 한·미 관계를 긴장시킬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 우리는 한국과 매우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일부 인력을 (미국에) 불러들여 배터리 제조든 컴퓨터 제조든 선박 건조이든 복잡한 작업을 하도록 (미국인 근로자들을) 훈련시키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른 나라와의 인력 교류·양성, 숙련 근로자 유입 등을 강조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도 글을 올려 “그것(인재를 데려오는 일)을 신속하고, 합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외국 기업의 미국 이민법 존중’을 전제로 한 것이지만 한국인 근로자를 단속한 미 이민당국이 “할 일을 한 것”이라던 지난 6일 발언과는 확연히 대비된다.

주목되는 것은 이런 발언이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나설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는 점이다.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강경한 불법이민 단속 정책과 외국 기업 투자 유치가 서로 충돌하고 있음을 이번 사태로 인식한 데 따른 것일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은 미국 각지에서 생산 시설을 확충하고 있지만 필요 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상당하다. 한국인 근로자를 활용할 수밖에 없지만 취업 비자(H1B비자)의 쿼터가 제한적이고, 절차도 까다롭다. 이 때문에 비자 면제 프로그램의 일종인 전자여행허가제(ESTA)나 상용·관광 비자인 B1·B2 비자로 우회하는 ‘편법’이 만연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훌륭한 기술적 재능을 가진 똑똑한 인재를 합법적으로 데려와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길 권장한다”며 “나는 그들(한국)이 말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