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이 내는 소리에 동물이 반응한다는 처음으로 입증됐다. 이는 인간이 인지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동물과 식물이 상호작용하며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15일(현지시간) 영국 BBC가 보도한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암컷 나방은 물 부족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토마토가 내는 소리를 감지하고 그곳에 알을 낳지 않았다.
이 대학 연구진은 이미 2년 전,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고유의 비명 소리를 방출한다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소리는 사람의 청각으로는 들리지 않지만 곤충이나 박쥐, 특정 포유류는 인식할 수 있다고 한다.
연구진은 나방이 ‘유충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의 식물을 골라서 산란한다는 전제 하에 실험을 설계했다. 이들이 초점을 맞춘 것은 나방이 식물의 외형보다도 ‘소리’를 기반으로 선택하는지 여부였다.
실험은 외부 요인을 배제해 통제된 환경에서 진행됐고, 연구진은 외부의 자극에 따른 식물의 반응과 그에 따른 동물의 행동 변화를 분석했다.
다만 연구진은 식물이 의식을 갖고 소리를 내는 것은 아니며, 이는 주변 변화에 따른 물리적 반응이라고 밝혔다.
또 식물이 시간이 흐르면서 필요에 따라 더 다양한 소리를 내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고, 동물들은 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청각기관을 발달시켰을 가능성도 제시했다.
요시 요벨 텔아비브대학 교수는 이번 실험 결과에 대해 "아직 추측 단계이지만 모든 종류의 동물이 식물이 내는 소리를 바탕으로 꽃가루를 옮길지, 안에 숨을지, 먹을지 결정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아직 발견되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라고 언급했다. 해당 내용은 국제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