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뮤직카우 음악투자 플랫폼이 경제적 펀더멘털에 기반한 합리적 투자 판단이 이뤄지는 금융 시장이라는 논문이 Economics Letters에 게재 확정됐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고병완(IS), 박진관(재무), 김재환(마케팅) 연구팀은 음악증권 시장이 아티스트의 인기와 규제 불확실성에 따른 외생적 충격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 연구한 ‘음악증권 : 투자인가, 팬덤인가?(Music Royalty Shares: Investment or Fandom?)’를 발표했다. 해당 논문은 지난 2022년 금융당국이 뮤직카우의 상품을 자본시장법상 증권으로 판단함에 따른 규제 불확실성 발생 상황 전후의 음악증권 가격 데이터와 아티스트 인기 지표 등을 정밀 분석해 음악투자 시장이 팬심을 넘어 합리적 가격 형성 매커니즘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논문에 따르면, 음악증권은 보통 팬덤 규모가 큰 인기 아티스트일수록 더 높은 가치평가를 받는 ‘인기 프리미엄’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강력한 팬덤이 장기 로열티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합리적 기대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증권성 판단 이후에는 인기 프리미엄을 받은 음악증권의 가격이 충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규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국면에서는 감정적 요소보다 경제적 펀더멘털에 기반해 합리적으로 가치 재평가를 진행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뮤직카우 유저들이 단순히 팬심을 넘어 실제 투자 목적으로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동시에, 뮤직카우가 합리적이고 성숙한 투자 상품 거래 시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고려대 고병완 교수는 “신종 투자상품에 대한 일부의 우려와 달리, 뮤직카우의 음악증권에 대해서도 투자자들은 기존 투자 상품과 크게 다르지 않은 합리적 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 합리적 투자자가 잘 보호될 수 있도록 법과 제도가 잘 뒷받침되고, 이에 따라 거래 환경이 더욱 개선된다면 새로운 투자 상품들이 금융 시장을 한 걸음 더 성장시키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뮤직카우 관계자는 “현재 뮤직카우는 정식 인가 신청을 통한 제도권 진입을 준비 중이다. 증권성 판단 이후 투자자들의 합리적 판단으로 시장의 평가가 이루어진 만큼 지금이 제일 저평가된 국면이라고 봐야한다”며 “제도권 진입 이후 새로운 시장의 평가를 받고 폭발적 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