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 감금피해 신고 공문 분석 결과
국내 모집책, 관광 유혹해 데려가
지적·청각 장애인들 피해 줄이어
“경찰청, 모집책 검거에 속도 내야”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해외 범죄조직의 한국인 감금 및 범죄 피해 사건과 관련해 국내 거주 모집책들이 정신지체, 청각장애 등을 가진 사람들을 유혹해 캄보디아로 보냈던 사례가 다수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국내에 숨어 있는 모집책 검거에 주력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실이 28일 주캄보디아대사관에서 외교부로 보낸 캄보디아 내 감금 피해 신고 공문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수차례의 장애인 피해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대사관은 지난 4월 공문에서 3월31일 A씨가 대사관에 방문해 “지인이 큰돈을 벌 수 있다고 권유해 입국했는데 업체에 손해를 끼쳐 해고당했다”며 조력을 요청했다고 했다. 대사관이 국내에 있는 A씨 부모에 문의하자 A씨의 부모는 “아들은 지적장애가 있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21일에는 B씨의 부친이 캄보디아대사관에 “지적장애가 있는 아들이 집을 나가 귀가하지 않고 있고, 친구라는 사람들이 여권을 대신 수령해 캄보디아로 보낸 것 같다”며 조력요청을 해왔다. 캄보디아 공항 입국심사대에서 대사관 직원이 B씨를 발견해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이용당할 수 있다’며 귀국을 권유했지만 당사자가 이를 거부하며 범죄조직에 합류했다가 이틀 만에 구조를 요청해 데리고 온 사례도 있었다.
앞선 6월에도 캄보디아 내 범죄 단지에 감금됐던 우리 국민 14명이 구출됐는데 이 중에서 정신지체 장애인 C씨가 포함돼 있었다. C씨는 대사관 면담에서 “동네 오빠가 ‘관광을 시켜주겠다’며 항공권을 구매해줬는데 캄보디아에 입국하자마자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기고 감금됐다”고 진술했다. 이외에 같은 달 청각장애인 D씨가 돈을 벌겠다며 캄보디아에 입국했다가 영사관 조력으로 귀국한 사례가 있었다. 한 의원은 “장애를 범죄에 이용하는 것은 악질 중 악질 행태로서, 드러나지 않은 피해사례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찰청은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외 범죄조직과 국내를 연결하는 모집책 검거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해 “주캄보디아대사관이 접수한 온라인 스캠 범죄 관련 취업사기·감금 피해 신고 건수는 올 9월 기준 386건으로, 8월 기준 330건에서 56건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랑GO] 한국 대학생 캄보디아에서 숨진 채 발견…정부 합동대응팀 파견…중국어도 쏙쏙 들어오는 쏙쏙만평](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8/94620bcd-263c-4101-8a5a-6e1318dc6d65.jpg)
![[2025 국감] 野 주진우 "캄보디아 대학생 납치·살해범 송환하나"·檢 "복잡하다"](https://img.newspim.com/news/2025/10/27/251027135605962_w.jpg)
![[단독]中서도 실종자 3배 급증…해외범죄 대응 '구멍'](https://newsimg.sedaily.com/2025/10/28/2GZCR60LZI_2.jpg)





![“코리안 고 홈!" 필리핀서 애 낳고 도망친 韓 남성들 얼굴 공개…'코피노 문제' 뭐길래 [이슈, 풀어주리]](https://newsimg.sedaily.com/2025/10/27/2GZCBL02G9_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