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게임’ 만들고 ‘아는 맛’ 꺼냈다… 게임 전시회 지스타 개막 [팩플]

2025-11-13

‘착한’ 게임을 만들고, ‘아는 맛’을 꺼내들었다.

13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 2025’에선 국내 게임사들의 이같은 전략 변화 모습이 두드러졌다. 막대한 돈을 쓰는 소수 이용자 보다 적게 써도 수가 많은 일반 게이머에 더 집중하고, 대신 흥행력이 검증된 기존의 IP(지식재산)를 다양한 장르 게임으로 변주해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모색하는 식이다.

이번 지스타 메인 스폰서로 참여한 엔씨소프트가 대표적이다. 오는 19일 정식 출시 예정인 게임 ‘아이온2’ 대규모 시연 부스를 설치한 엔씨는 아이언2 과금구조를 기존 리니지 M 등 달리 배틀패스(월정액 상품)와 스킨(캐릭터 치장)으로 구성했다. 엔씨 부스엔 아이언2를 시연해 보려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대기 시간이 2시간 이상을 넘기도 했다. 엔씨는 이날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소니)와의 협업 사실도 공개했다. 소니의 유명 IP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MMORPG로 재해석한 게임이다. 이성구 호라이즌 스틸러스 프론티어스 총괄 프로듀서는 게임 과금 구조에 대해서도 “(멤버십과 스킨 위주의) 아이온2와 같은 착한 비즈니스 모델(BM) 결을 가져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과금을 대신해 게임사들이 선택한 건 꾸준히 인기를 끄는 IP(지적재산권) 활용이다. 오랫동안 사랑받아왔거나 흥행성과가 검증된 IP를 활용해 새로운 이용자층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넷마블은 이날 출품한 5개 게임 가운데 3개 게임이 원작 IP가 따로 있는 게임이었다. 웹소설 ‘나 혼자만 레벨업’(나혼렙) IP를 활용한 ‘나혼렙: 카르마’, 만화·애니메이션 ‘일곱 개의 대죄’ IP를 활용한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 2013년 출시된 원작 게임 ‘몬스터 길들이기’의 후속작인 ‘몬길: 스타 다이브’ 등이다. 크래프톤의 출품작 ‘팰월드 모바일’도 일본에서 만든 글로벌 히트 게임 ‘팰월드’를 모바일 재해석해 만든 게임이다.

업계가 대형 IP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원작 팬을 새로운 이용자 층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데다, 이전에 해당 IP 게임을 즐긴 적 없는 새로운 세대 이용자들도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지스타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난 권도형 넷마블네오 총괄 PD는 나 혼자만 레벨업 IP에 대해 “아직도 애니메이션 방영이 지속되고 있는 성장하는 IP”라며 “게임 외 장르에서 흥행하는 IP와 협업해 팬들에게 다가가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16일까지 열리는 이번 지스타에는 총 44개 국가에서 1273개 회사가 참여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