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핌 '2025 중국-아시아포럼'…'일본 경제 대전환과 한국의 교훈' 주제 발표
"30년간 이어진 저성장·저물가 기조서 탈피...소비자물가·부동산 전방위 회복세"
"한국, 일본과 유사한 조건 직면…중장기적 자산관리·산업금융 전환 전략"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디플레이션 위기를 탈출하기 시작한 일본은 저성장·저금리 시대의 장기침체를 극복하고, 산업구조 재편과 금융생태계 확장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일본 금융업의 변화와 역할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에 주목해야 한다"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장은 12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뉴스핌 주최로 열린 '2025 중국-아시아 포럼'에서 '일본 경제의 대전환과 한국의 교훈'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박 소장은 "일본은 버블 붕괴 이후 30여년간 이어졌던 저성장·저물가 기조에서 점차 탈피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상회를 비롯해 주가지수도 최고점을 기록하는 만큼 활발한 모습을 보이며 임금, 부동산 가격까지 전반적인 지표에서 회복세를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베노믹스를 기점으로 정부 주도의 성장 전략과 금융 완화, 재정 확대 정책이 꾸준히 이어졌고, 기시다 내각 역시 '새로운 자본주의'를 표방하며 디지털 전환과 녹색전환(GX)를 중심으로 산업 구조를 바꾸고 있다"며 "엔화 약세가 기업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면서 주가가 상승했고, 이 과정에서 고용 확대와 가계 소득 증가가 나타나 수요 견인형 인플레이션으로 전환되며 일본이 디플레이션을 벗어나게 됐다"고 했다.
이러한 정책적 연속성 속에서 일본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금융 체계를 적극적으로 구축 중이다. 박 소장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NISA(소액투자 비과세 계좌), iDeCo(개인형 연금제도)와 같은 자산관리 제도는 일본 가계 자산의 금융시장 유입을 촉진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은행과 자산운용사를 통한 장기자금 공급 기반이 강화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부동산 유동화, 상속·증여 신탁, 역모기지 등 고령자 맞춤형 금융상품도 빠르게 정비되고 있다"며 "이러한 자산운용 환경의 정비는 고령화에 직면한 한국 금융권에도 시사점이 크다"고 덧붙였다.
기업금융 시스템의 변화에도 주목했다. 일본의 기업금융 생태계 변화도 주요 키워드로 언급됐다. 제조업 기반 약화와 투자 감소, 인구 구조 변화 등으로 인해 일본 금융권은 전통적인 대출 중심 모델에서 탈피해 전환금융, 부동산금융, 신성장금융 중심으로 전략을 옮기고 있다. 박 소장은 "신산업에 대한 정책금융, 은행·대기업·스타트업 연계를 강화하는 등 전방위적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 소장은 일본 사례는 한국에도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속도는 일본보다 빠르다. 인구 오너스(Onus·생산인구 감소 및 부양인구 증가로 성장에 부정적 영향) 우려는 한국이 일본보다 큰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며 "그래도 한국은 최악에 대한 대비가 돼 있기에, 일본의 버블 시기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건전성 규제 수준 및 금융 불균형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이처럼 한국 역시 급속한 고령화와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 생산인구 감소, 투자부진, 신성장산업 육성의 과제 등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과 유사한 구조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한국도 가계의 부동산 중심 자산구조를 금융자산 중심으로 전환하고, 이를 통해 장기자금 공급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