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영국 '서비스 론칭' 준비 단계
기술특례 상장 추진..."이르면 내년 하반기"
"올해 매출 300억원 목표"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인공지능(AI) 의료 플랫폼 기업 와이즈에이아이(와이즈AI)가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일본과 미국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해외 진출에 나서며, 2025년을 '글로벌 도약 원년'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와이즈에이아이는 현재 일본에서 4500여 개 치과에 전자차트(EMR)를 보급 중인 현지 기업과 협력해 시장 진입을 추진 중이며, 미국에서는 현지 병원 2곳과 손잡고 AI 기반 플랫폼 공급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송형석 와이즈에이아이 대표는 9일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과 영국은 현재 서비스 론칭을 위한 준비 단계에 있다"며 "미국의 대형 EMR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북미 시장 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체 개발한 언어 추론 엔진, RPA 연동 기술, WaiGPT 기반의 다국어 AI 챗봇 등으로 영어·중국어·일본어에 대응하는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갖췄다"며 "다국어 챗봇 서비스도 곧 정식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송 대표는 "정부의 유니콘 육성 지원사업을 통해 해외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면서 "AI 고객관리 플랫폼의 현장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올해를 글로벌 시장 진출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해외 진출은 와이즈에이아이가 중소벤처기업부의 '아기유니콘 플러스' 프로그램에 2년 연속 선정되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데 따른 것이다. 해당 사업은 아기유니콘 기업 중 글로벌 성장성이 높은 기업을 예비 유니콘(기업가치 1000억 원 이상)으로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 '기술특례상장' 본격 추진…"이르면 내년 하반기"
글로벌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는 와이즈에이아이는 내년 코스닥 기술특례상장도 병행해 추진 중이다. 기술특례상장을 위해 필요한 나이스(NICE) 기술성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TI-1'을 획득했다.
송 대표는 "현재 시리즈 C 투자 유치와 함께 기술특례상장 준비를 차근차근 진행 중이며, 주관사 선정 및 IFRS 전환 등 주요 상장 요건을 완료해가고 있다"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만큼, IPO를 통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이르면 내년 하반기 상장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0년 설립된 와이즈에이아이는 초기에는 병원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해 공급하는 '구축형' 모델을 운영했지만, 이후 AI-CPaaS(Communication Platform as a Service) 기반의 월 구독 요금제 방식으로 전환하며 사업 확장에 본격적으로 탄력이 붙었다. 비용 부담 없이 빠르게 도입 가능한 구독형 구조는 병의원 중심의 고객층 확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와이즈에이아이의 솔루션은 전국 300여 개 의료기관에서 도입돼 활용 중이다. 특히 치과 특화 서비스인 '덴트온(DentOn)'은 출시 6개월 만에 300곳 이상에서 채택됐다. 이 AI 시스템은 병원의 전자차트를 분석해 환자의 내원 이력을 기반으로 예약을 유도하고, 재방문 안내 등 고객응대를 자동화한다.

송 대표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커뮤니케이션을 AI가 대신하면서 병원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다"며 "알바 한 명 고용하는 수준의 비용으로 AI 직원을 활용할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와이즈에이아이는 현재 치과, 검진센터, 피부과, 성형외과 등 주요 진료과목별 AI 템플릿 고도화를 진행 중이며, 오는 2027년까지 국내 의료기관 8000곳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병원 외에도 프랜차이즈, 통신, 금융, 보험 등 고객 응대가 많은 산업군으로 서비스 적용을 확장할 계획이다.
송 대표는 "무인 카페, 무인 식당, 주차 관제 시스템 등 사람 없이 운영되는 무인 시스템과의 사업 제휴를 통해 시장을 빠르게 확대할 방침"이라며 "병원에서 축적한 기술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일반 산업군에서도 빠르게 확장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장 이후에는 AI 기반 간병 플랫폼으로의 본격적인 확장을 준비 중이다. 와이즈에이아이는 치매, 파킨슨병 등 고령 질환 환자를 위한 AI 간병 비서, 음성 인식 및 영상통화 기반 아웃바운드 고객센터, 응급상황 인식 후 자동 알림 시스템 등 기능을 포함한 차세대 헬스케어 AI 플랫폼을 순차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송 대표는 "환자의 진료계획과 이력을 기반으로 맞춤형 상담과 예약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고령층이나 만성질환자 관리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단순 병원 지원을 넘어 환자의 일상까지 케어하는 AI 플랫폼으로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AI 플랫폼 다각화..."올해 매출 300억원 목표"
와이즈에이아이는 지난해 매출 148억 원, 영업이익 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84.2%의 매출 성장과 함께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 2023년 22억 원의 영업손실에서 빠르게 탈출하며 실적 기반도 강화됐다.
올해는 매출 2배 성장을 목표로 하며 글로벌 사업 확대와 B2C(기업·소비자거래) 모델 출시를 통해 AI 플랫폼 다각화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송 대표는 "올해의 매출 목표는 300억 원이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서비스 다각화를 통해 AI 기반의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병원을 위한 B2B(기업간거래) 서비스가 중심이었지만, 앞으로는 환자가 자신의 의료정보와 진료 이력을 앱으로 직접 확인·관리할 수 있는 B2C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AI 고객관리 플랫폼의 리더로 성장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업무를 넘어 힐링과 치료까지 아우르는 AI 케어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