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F2025] "AI·윤리·표준이 여는 메타버스 미래"… '더 민스 2025', 새 질서를 말하다

2025-10-31

11월 12~13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KMF 2025 핵심 컨퍼런스

[서울=뉴스핌] 정태선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2025 대한민국 가상융합 산업대전(KMF 2025)'이 오는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 그 중심에는 글로벌 메타버스 산업의 새로운 좌표를 제시할 '더 민스 2025(THE MEANS 2025)' 컨퍼런스가 있다. 11월 12~13일 이틀간 제1전시장 5홀 메인 스테이지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AI, 윤리, 표준화를 축으로 메타버스 산업의 미래를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KAIST 메타버스대학원 우운택 원장, 디지털리터러시협회 김묘은 대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강신각 박사가 연사로 나서며, 일본 가상융합컨소시엄의 미스타 에구치, 한기대 김원태 교수 등 해외 전문가도 참여한다. 뉴스핌은 이번 컨퍼런스의 핵심 인사 세 명을 만나 메타버스 산업이 맞이한 전환점과 놓치지 말아야 할 키워드를 들어봤다.

◇"메타버스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 AI가 다시 불붙이는 혁신

"메타버스는 이제 시작입니다." KAIST 우운택 교수는 확신에 차 있었다. 그는 "AI가 콘텐츠 제작의 장벽을 허물고, 현실과 가상을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새로운 시대를 연다"며 "AI가 바로 메타버스의 두 번째 도약을 이끌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우 교수는 특히 공간 지능·물리 지능·에이전트 AI를 3대 축으로 꼽았다. "이 기술들이 현실 공간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키우면, 메타버스는 단순한 가상현실이 아니라 '살아있는 현실 복제 공간'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스마트폰을 넘어서는 XR 글래스 시대가 눈앞에 왔다"며 "현실 속에서 가상을 겹쳐보는 일상이 곧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국내 기업의 움직임도 빠르다. 삼성전자의 '무한 프로젝트', 버넥트의 산업용 AR 글래스 출시 등 실제 산업 현장 중심의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 우 교수는 "AI와 디바이스의 결합이 메타버스를 일상으로 끌어올릴 것"이라며 "이번 컨퍼런스는 기술 트렌드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윤리는 산업을 오래가게 하는 힘" – 인간 중심의 메타버스

디지털리터러시협회 김묘은 대표는 메타버스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키워드로 '윤리'를 꼽았다.

그는 "윤리는 산업을 오래 가게 하는 연료"라며 "기술의 속도보다 인간의 방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로 메타버스 윤리 원칙을 제정한 나라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번 행사에서 B2B용 실천 윤리 체크리스트를 최초 공개할 예정이다.

이 체크리스트는 플랫폼 설계 단계에서부터 개인정보 보호, 표현의 자유, AI 편향 문제를 체계적으로 점검하도록 돕는다.

"메타버스는 기술이 아니라 사회의 문제입니다. 가상공간 안에서도 책임과 공감이 필요합니다."

그는 이번 세션에서 산업계·정치·정부·교육 현장에서의 윤리 적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또한 교육과 치료 분야에서도 메타버스의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김 대표는 "AI를 이용해 화재 진압 훈련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심리치료를 가상공간에서 시행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학부모, 교사, 교육 종사자에게 메타버스 윤리 세션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표준을 선점하는 나라가 시장을 선도한다" – 글로벌 경쟁의 핵심, 표준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강신각 박사는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 조건을 한마디로 정리했다.

"표준은 산업을 정의하는 언어입니다."

그는 "글로벌 시장은 이미 표준 경쟁에 들어섰다"며 "표준을 선점하는 나라가 산업을 주도한다"고 단언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ITU, ISO 등 공적 기구의 표준화 동향과 산업 중심의 사실 표준화(De facto) 활동을 함께 다루며, 일본의 아바타 표준화 전략도 공유된다.

강 박사는 "메타버스가 인터넷처럼 보편화되려면 상호운용 가능한 구조가 필수적"이라며 "표준은 기술을 연결하고, 기업의 글로벌 확장성을 보장하는 가장 강력한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세션은 기술 개발자, 기업인들이 국제 표준 트렌드를 파악하고 자사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점검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래는 이미 일상 속에 들어와 있다" – 메타버스의 실질적 진화

세 전문가의 공통된 시각은 명확했다. 메타버스는 더 이상 '가상세계의 꿈'이 아니라, 현실과 가상이 공존하는 일상 공간으로의 진화라는 것이다.

김묘은 대표는 "AI와 글래스 기술로 원하는 환경을 즉시 구현할 수 있다"며 "거실에서 뉴욕 야경을 보며 커피를 마시는 세상이 머지않았다"고 전했다.

강신각 박사는 "메타버스는 인터넷처럼 자연스럽게 생활에 녹아들 것"이라고 말했다.

우운택 교수는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메타버스는 일종의 타임머신 같은 경험을 가능케 한다"며 "실시간 물리세계 캡처, 시차를 초월한 연결, 그리고 AI·블록체인·클라우드 인프라의 결합이 그 미래를 현실로 만든다"고 강조했다.

◇놓치면 후회할 참가 포인트

'더 민스 2025'는 단순한 전시가 아닌 참가자 맞춤형 인사이트 플랫폼이다.

기술개발자·기업인에게는 국제 표준 동향을 파악하고 글로벌 시장 전략을 수립할 절호의 기회다. 산업 종사자·일반 관람객에게는 CPND(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 구조로 산업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학부모·교사·교육계에는 윤리 교육 및 메타버스 기반 치료·교육 콘텐츠 체험장이다.

우운택 교수는 "이틀간의 컨퍼런스가 곧 메타버스 산업의 '미래 요약판'이 될 것"이라고 했고, 김묘은 대표는 "기술과 사람, 윤리가 만나는 장을 직접 경험하라"고 말했다. 강신각 박사는 "표준은 산업의 문법이다. 이번 행사는 그 문법을 새로 쓰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더 민스 2025'는 메타버스 혁신의 심장이 뛰는 자리다. AI가 상상을 현실로 바꾸고, 윤리가 산업을 단단히 지탱하며, 표준이 글로벌 무대를 연다. 기술의 방향이 궁금하다면, 11월 일산 킨텍스에서 미래의 문을 열어보자.

windy@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