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정상들의 면면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대체로 APEC 회원 정상이 참석하지만, 일부의 경우에는 다른 인사가 대표를 맡아 대신 방한할 예정이다.
외교가에 따르면 APEC 정상회의엔 의장국인 한국을 포함해 21개 회원이 모두 참석한다.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호주 등 APEC 회원 대표들은 본회의 개막(31일)을 앞두고 이르면 29일부터 방한할 예정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국빈 자격으로 방한한다. 트럼프는 2019년 6월 이후 6년여 만에, 시진핑은 2014년 이후 11년 만에 한국을 찾는다. 서울이 아닌 지방 도시에서 미·중 정상을 잇달아 국빈으로 맞는 건 이례적이다.
지난 21일 취임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도 방한한다. 다카이치와 트럼프는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일정을 마친 뒤 28일 오전 도쿄 아카사카 영빈관에 미·일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앤서니 앨버니즈 호주 총리,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등도 방한한다. 중남미 정상 중에선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이 경주행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칠레는 한국과 최초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중남미 국가다.

대체로 정상이 참석하지만 일부는 다른 인사가 대표로 참석한다. 러시아에서는 알렉세이 오베르추크 국제문제 부총리가 대표단을 이끌고 방한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속되고 있고, 북·러 간 불법적인 군사협력이 가속하는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블라드미르 푸틴 대통령은 러·우 전쟁이 발발한 2022년 이후 APEC 정상회의에 불참해왔다. 국제형사재판소(ICC)는 2023년 푸틴에 대해 우크라이나 아동 납치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최근 대통령 탄핵으로 신임 대통령을 선출한 페루에서는 장관급 인사가 참석할 전망이다. 멕시코에서도 장관급 인사가 참석한다.
대만은 라이칭더 총통 대신 행정원 부원장을 지낸 린신이 총통 선임고문이 참석할 예정이다. APEC은 주권국이 아닌 '경제체'(economy)로서 참가 자격을 갖기 때문에 대만도 통상 다자협의체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다만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총통은 APEC에 불참해왔다. 린신이는 2005년 부산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 때도 천수이볜 총통을 대신해 참석했다.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에서도 존 리 행정장관이 참석한다.
아랍에미리트(UAE) 칼리드 아부다비 왕세자,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경주에 모습을 드러낸다. 이들은 '더욱 연결되고 복원력 있는 세계를 향하여'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본회의 1세션에 참석할 예정이다.
전용기나 특별기를 통해 방한하는 정상은 대체로 김해공항으로 입국한 뒤 모터케이드(의전차량 행렬)를 대동한 승용차 행렬로 경호를 받으며 경주까지 이동할 전망이다.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하는 경우에는 국내 비행편이나 KTX를 이용해 경주로 이동하게 된다. 21개 회원 정상의 숙소는 대체로 보문단지에 배치됐다.
![신라 금관의 금빛 환대 속… ‘경주 선언’ 도출 막바지 회의 [2025 경주 에이펙]](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20251027516074.jpg)
![미중 정상 초유 동시 방한…이재명표 '脫 안미경중' 가늠자 [view]](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9/dc04c0ac-44f2-4197-9993-9733a1b36adf.jpg)






![[뉴스핌 이 시각 PICK] APEC 정상회의 4대 관전 포인트는 外](https://img.newspim.com/news/2025/10/27/251027073457536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