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로 바다 수온이 오르면서 ‘국민 생선’ 고등어가 자취를 감추고 있다. 300g 이상 중·대형 고등어 비중은 3.9%로 작년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고, 산지 가격은 ㎏당 6591원으로 1년 새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수온 상승에 따른 어획량 감소에 중국의 ‘싹쓸이 수입’까지 겹치면서 고등어의 몸값이 금값이 된 셈이다.
5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공동어시장에서 위판된 국내산 고등어 중 중·대형어 비중은 7.0%로, 작년(9.0%)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 올해 1~9월 누적 기준으로는 3.9%에 그쳐, 작년(13.3%)과 평년(20.5%)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공급이 줄자 가격은 수직 상승했다. 지난달 냉장 고등어 산지 가격은 ㎏당 6591원으로 작년보다 100.6%, 평년보다 123.3% 높았다.
소비자 가격도 1만1460원으로 작년 대비 10.8%, 평년 대비 9.8% 올랐다.
국산 고등어는 잡히자마자 유통돼 신선도가 높고 살이 부드러워 구이·조림용으로 인기가 많다. 반면 노르웨이산은 지방 함량이 높아 맛은 진하지만 냉동·해동을 거치면서 식감이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다.
수산업계 관계자는 “국산 대형 고등어가 귀해지니 오히려 찾는 손님이 더 늘었다”며 “공급 부족이 국산 고등어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키우는 역설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수산업계는 국내 어획 부진에 더해 ‘중국발 변수’가 겹쳤다고 분석한다. 중국 역시 자국 연안 어획량이 줄어든 데다 내수용 수산물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산 고등어를 웃돈을 주고 사들이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한 가공업체 관계자는 “중국 수입업자들이 정부 비축분까지 통째로 사들이는 날이 있다”며 “특히 손질용·가공용으로 중·대형 국산을 선호해 물량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고 말했다.
대형마트들도 비슷한 어려움을 호소한다. 어획량이 줄어 산지 입찰가가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신선 생물 특성상 재고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행사 때 진열장을 채워야 하는데, 요즘 나오는 국산은 씨알이 작고 물량이 너무 적다”며 “결국 크기 일정한 수입산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정부는 고등어·오징어 등 주요 어종의 어획량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형 수산 대책’을 본격 추진 중이다. 해양수산부는 어종별 어획 패턴이 달라지는 현상에 대응해 총허용어획량(TAC) 적용 대상을 확대했다.
지난 6월 확정된 TAC 시행 계획에 따라, 망치고등어와 기름가자미가 새롭게 관리 대상에 포함됐다.
우리 연근해 고등어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망치고등어는 그간 씨알이 작아 주로 아프리카로 수출되던 어종이지만, 최근 해외 수요 증가로 관리 필요성이 제기됐다. 동해에서 많이 잡히는 기름가자미 역시 회·찜·탕 소비가 늘면서 자원 관리가 필요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해황이 급변하면서 어획 시기와 지역이 바뀌고 있다”며 “어획 총량제 확대를 통해 자원 고갈을 막고 어업인의 피해를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