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탁구는 축구와 함께 디비전 리그를 잘 운영하는 종목이다. 2024년 기준으로 172개 시군구에서 모두 596개 리그가 치러졌다. 3770개 클럽이 참가했고 출전 선수수는 1만1819명이다.
■1부~7부 운영, 개인 종목 ‘롤 모델’ : 1부(T1)부터 7부(T7)까지 운영되는 종목은 축구와 탁구가 유이하다. T1,2는 전문선수 리그다. T3는 시도 리그, T4~T7는 시군구 리그다. 2인 단체전(단단복) 형식으로 진행된다.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뉜다. 혼합복식은 없다. 나이와 상관없이 실력으로만 리그가 구분된다. 그해 해당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 이듬해 상위 리그로 승격하고 반대로 성적이 나쁘면 강등될 수 있다. 올해 참가비는 1인당 2만원이다. 이것만 내면 이르면 6월부터 디비전 리그가 끝나는 가을까지 추가비용없이 리그에 참여한다. 한 개 대회에서 개인당 9~18경기를 할 수 있다.
대한탁구협회에 등록된 동호인은 6만4000여명이다. 디비전 사이트에 등록된 인원은 2024년 기준 1만4000여명이다. 관내 지역에 대회가 많아 그 대회를 우선 치르는 일부 지역을 빼고는 대부분 시도, 시군구가 디비전 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탁구 디비전 리그는 TV 등을 통해 꾸준히 중계되는 등 다른 종목 디비전 리그에 비해 대중적 노출도가 높다.

■승강제 한계, 랭킹제 전환 : 개인 종목을 묶어 단체 경기로 진행하다보니 흥미요소가 반감됐다. 선수들의 변동이 잦아지면 변수가 많아졌고 가끔 기권하는 경기도 나왔다. 협회는 단체종목에 걸맞는 승강제보다는 레이팅 시스템, 즉 개인랭킹제가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해 문화체육관광부에 꾸준히 변경을 요청했다. 결국 내년부터 단체전 형식이 아니라 남자단식, 여자단식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되면 대회 진행, 레이팅 시스템 적용 등 수월해진다. 다만 지인과 함께 나오는 경우가 줄어들어 선수 모집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 협회는 개인전을 몇게임으로 할지, 승패와 스코어에 따라 어떻게 얼만큼 점수를 부여하고 삭감할지 등 관심과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한 요소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또 디비전리그 내에 유·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별도 리그도 운영된다. 세부 경기 방식과 참가 자격 등은 현재 논의 중이며 단체전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개인 랭킹제에 사활을 건 탁구 : 개인 랭킹제가 성공한다면 탁구 디비전 리그는 엄청나게 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개인 종목에도 따라할 만한 성공사례가 될 수 있다. 결국 랭킹제를 얼마나 매력적으로 만드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 랭킹 시스템 연구 및 시스템 재편 및 보완 등에는 추가적인 재원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다만 다른 종목과 마찬가지로 탁구도 디비전 예산이 줄고 있는 게 걱정이다. 탁구계에 “전국민이 즐기는 대표적인 개인 종목 탁구가 사활을 걸고 개인 랭킹제를 실시한다. 정부 지원이 조금 더 강화되면 좋겠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융통성 있는 규정 개정 필요 : 체육진흥기금이 들어가는 사업이라 규정상 별도 후원사를 영입하는 게 쉽지 않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정부 예산은 줄이고 종목 자부담을 높이는 상황 속에서 외부 스폰서 영입을 허용하는 쪽으로 규정이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종목에서 제기된다. 개인 랭킹제 성공을 위해 필요할 경우 상금을 거는 등 융통성 있는 유인책이 요구될 수도 있다. 협회는 내년 정부 예산의 8%를 자체로 충당해야 한다. 자체 예산은 대부분 개인 참가비로 충당된다. 그렇다고 참가비를 많이 올리면 반발이 생기면서 참가자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게 협회 고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