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합동참모본부 소속 장군 대부분과 중령·대령 근무자 중 2년 이상 근무한 인원을 교체할 전망이다. 군 당국은 '12·3 비상계엄 여파로 인한 인적 쇄신 차원'이란 설명이지만 군 안팎에선 군사대비태세에 영향을 끼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6일 군 당국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취임한 진영승 합참의장(공군 대장)은 최근 합참 소속 장군 대부분과 2년 이상 근무한 중령급 이상 영관장교를 모두 교체한다는 인사방침을 밝혔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합참 관계자는 "인사쇄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나 현재 결정된 사안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정부가 군령권을 가진 합참 지휘부의 전면 교체를 결정한 건 인적 쇄신을 통해 군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군에 대한 장악력을 높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진 합참의장의 지시대로 인사가 단행될 경우 지난 9월 보임된 권대원 합참차장(육군 중장)을 제외한 합참 소속 장군 약 40여명은 국방부와 각 군에 배치되고, 현재 합참 외부에서 근무하는 장성들이 해당 보직을 채우게 될 전망이다.
진급 인사가 마무리된 중령급 참모들은 이달 말, 대령과 장군들은 이르면 12월 또는 내년 1월에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장성급은 국방부가, 영관급 장교는 각 군 본부가 각각 인사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종 인사 결정은 국방부의 판단에 달려있다.
이번 인사 방침을 두고 군 안팎에선 합참 지휘부를 대부분 교체할 경우 군사준비태세와 직결된 작전 분야의 인수인계가 차질없이 이뤄질 수 있을지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앞서 정부는 지난 9월 초 대장급 인사에서도 12·3 비상계엄 당시 군 수뇌부로 있었던 현역 4성 장군 7명을 모두 전역시켰다.
![李정부 임기내 ‘전작권 전환’ 가능할까…내년 FOC 결과로 가늠[이현호의 밀리터리!톡]](https://newsimg.sedaily.com/2025/11/06/2H0CLAZ9A3_1.jpg)






![여성위원 단 1명… 男 좋은 정부조직 [심층기획-국가경찰委 새판 짜자]](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51790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