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롱 속 金 꺼내자”…하나은행, ‘금 실물 신탁’ 출시

2025-07-08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외환위기(1997년) 당시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금을 내놓으며 위기 극복에 나섰던 ‘금 모으기 운동’은 지금도 경제 위기 속 연대와 희생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국민 약 351만명이 참여해 227톤에 달하는 금이 모였고, 이는 세계적으로도 주목받는 사례가 됐다.

이후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자리 잡았으나, 실물 금 보유자 대다수가 집안에 보관만 할 뿐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

이에 하나은행이 실물 금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신탁 구조로 제시하며, 최근 금 유동화 신탁 상품을 선보였다.

8일 하나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과 협약을 맺고 금 실물을 은행에 맡겨 처분하거나 운용할 수 있는 ‘하나골드신탁’ 서비스를 출시했다.

금을 실물 형태로 가지고 있는 고객이 이를 하나은행에 맡기면 제휴 기관인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감정을 진행하고, 고객은 감정 결과 확인 후 처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처분된 금은 시장에 유통되며 이를 통해 실물 금의 순환을 유도하는 구조다.

하나골드신탁은 하나은행 서초금융센터와 영업1부 지점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시범 점포를 방문해 하나은행과 신탁계약을 체결하고 금 실물을 맡기면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제공하는 감정결과를 모바일 웹으로 받아볼 수 있다. 하나골드신탁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순차적으로 전 영업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금 실물 보유와 운용이 동시에 가능한 ‘하나골드신탁(운용)’ 상품도 8월 출시를 앞두고 있다. 고객이 금 실물을 맡기면 일정기간 동안 이를 운용해 수익을 내고, 만기 시 금 실물과 함께 수익을 돌려받는 형태다. 보관 부담은 줄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운용 수익까지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은행 신탁부 관계자는 “금융권 최초로 도입한 ‘금 실물 신탁’ 상품을 통해 손님 경험 차별화는 물론 금 실물의 선순환 구조를 유도함으로써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실물자산과 금융을 연결해 시장을 혁신할 수 있는 맞춤형 신탁상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