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특허·상표출원하면 자금조달 최대 17배 유리”

2025-07-21

스타트업이 특허와 상표출원을 통해 기술의 지식재산권(IP)을 미리 확보할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17배 이상 커진다는 정부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에 스타트업 육성이 단순 자금을 넘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IP 전략 지원까지 병행돼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가지식재산위원회와 특허청은 21일 ‘스타트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의 중요성’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1999년부터 올해까지 스타트업 2615곳의 투자 정보와 특허·상표 출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IP 확보 여부가 투자 유치 과정에서 기업가치와 자금조달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지표로 작용하는 만큼 정부와 스타트업이 관련 대응도 강화해야 한다는 게 보고서 내용이다. 우선 시리즈C 이상 후기 단계에 진입한 스타트업 기준으로 특허·상표 출원 건수에 따라 자금조달 가능성이 17.1배까지 차이가 났다. 특허·상표 출원이 없는 스타트업과 비교해 1~9건 출원한 업체는 4.2배, 10~19건 출원한 업체는 11.8배, 20건 이상 출원한 업체는 17.1배 자금조달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드 투자 단계(1.7배)와 시리즈A·B의 초기 단계 스타트업(3.1배)도 특허·상표 출원을 선행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금조달에 유리했다. 기업공개(IPO), 인수합병(M&A) 등 투자금 회수를 위한 엑시트 역시 특허·상표를 출원할 경우 최소 2.4배, 20건 이상 출원 기업은 5.9배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광형 지재위원장은 “미국·유럽처럼 국내에서도 IP가 스타트업에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된 만큼 정부도 스타트업에 자금뿐만 IP 전략을 함께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국내 스타트업의 IP 정보가 외부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스타트업이 IP를 통해 혁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 유치 등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