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AI농기계 임대 예산 반영 안돼…임대사업소 연계 보완 추진”

2025-11-05

농림축산식품부가 내년 예산에 빠진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농기계 임대·공유 사업의 보완책을 마련한다. 전국 농기계 임대사업소와 농협 운영망을 활용해 초기 수요를 만들고, 민간 중심 확산을 유도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5일 세종 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스마트농업에 필요한 농기계를 지역에서 임대하거나 공동으로 쓸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AI와 데이터 기술은 농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을 완화할 핵심 수단”이라며 “이런 기술이 일부 시설농에 머물지 않도록 중소농과 노지농업까지 적용 범위를 넓히겠다”고 덧붙였다.

내년 예산 배정이 최종적으로 이뤄지지 못한다면 기존 사업망을 활용해 시장 기반부터 확산시킨다는 구상이다. 자리를 같이한 김정욱 농업혁신정책실장도 “스마트농기계는 연구개발(R&D) 단계에서부터 실증까지 연계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제품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예산은 반영되지 않았지만 전국 임대사업소와 농협의 농기계 운영망을 활용해 농가가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초기 시장 수요 창출은 물론, 나아가 농가 자율 구매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농식품부는 스마트농업 확산 기반 조성에도 나선다. 내년에 705억원을 투입해 국가 농업AX(Agri-Transformation) 플랫폼을 구축하고, 정부와 민간이 합동 투자하는 특수목적법인(SPC) 형태로 운영한다.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농업·스마트축산과 전후방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거점 역할을 맡게는다. 송 장관은 “스마트농업거점 혁신지구를 중심으로 기업이 기술을 실증하고, 정부는 인프라와 제도를 지원하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송 장관은 APEC 정상회의 성과로 △중국과의 검역 협상에 따른 단감 수출 활로 확보 △제주산 소고기와 돼지고기 싱가포르 수출 허용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과 관련해선 “2년간 효과와 재원 지속 가능성을 검증한 뒤 본사업 확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영농형 태양광의 생산량 감소 논란에 대해서는 “실제 운영지의 평균 감소율은 2~20% 수준”이라며 “제대로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일부 사례를 오해한 것으로 전남·전북 지역의 계통 부족 문제는 관계부처와 함께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기후변화가 심화되는 만큼 농산물 안정 생산이 최우선 과제”라며 “유통 구조 개선과 함께 농업인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부터 차근차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