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미 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할 역량 충분히 확보"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정치권에서 원자력추진잠수함을 미국 필리조선소가 아닌, 국내서 건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원자력추진잠수함은 건조 과정에서도 설계, 기술, 안전관리까지 우리 산업기반과 방산 역량을 활용해 국내에서 추진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유 의원은 시간과 비용 절약을 이유로 들며 원자력추진잠수함의 국내 건조 필요성을 역설했다. 유 의원은 "필리조선소는 잠수함 건조시설이 전무한 상선 중심 조선소"라며 "일련의 행정·기술 절차를 모두 새로 밟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필리조선소에서 원자력추진잠수함을 건조할 경우 잠수용 전용 건조동, 원자로 모듈 제작라인, 방사선 차폐시설, 보안·방호체계, 환경영향평가 및 지역 주민 동의 절차 등을 거쳐야 한다.
유 의원은 "이 과정은 최소 5년에서 10년 이상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반면 국내에서 원자력추진잠수함을 건조할 경우 해당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게 유 의원의 주장이다.
유 의원은 "한국은 이미 원자력추진잠수함을 국내에서 건조할 역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며 "국내 조선업계는 대형 잠수함 신규 건조 및 정비시설을 완비하고 있으며, 방위산업 기반과 숙련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국내에도 3000t급 잠수함 4대를 동시 건조, 정비할 수 있는 대형시설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7~8000t급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은밀하게 진행해 온 한국형 원자력추진잠수함 사업의 계승도 강조했다. 유 의원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는 원자력추진잠수함용 소형 원자로와 추진체 개발 등을 꾸준히 진행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가 확보한 기술은 농축도 20% 미만의 저농축우라늄(LEU)을 연료로 하는 소형원자로 설계가 기반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미국은 농축도 약 95%의 고농축우라늄(HEU)을 원자력추진잠수함에 사용하고 있다.
유 의원은 "미국이 고농축우라늄을 제공한다면 우리 소형원자로를 재설계해야 한다"며 "기존의 열출력, 연료밀도, 냉각계통을 전면 재설계해야 하고, 신규 원자로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이미 확보된 국내 기술기반을 활용해 저농축 우라늄 기반 원자력추진잠수함을 국내에서 건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최선의 방안"이라고 덧붙였다.
유 의원은 "한국형 원자력추진잠수함은 반드시 우리 조선소에서, 우리 기술로 건조돼야 한다"며 "이재명 정부는 미측을 설득해 원자력추진잠수함이 성공적인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추진 목표 및 세부계획 수립과 실행을 서둘러 주실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전했다.
right@newspim.com

![[컨콜] HD한국조선해양 "핵추진잠수함, 조선소 하나론 부족…국책사업 검토"](https://img.newspim.com/news/2025/08/27/2508271559206590.jpg)


!["유인전투기 달라, 300대 더 필요" 美공군의 절규 [밀리터리 브리핑]](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4/41f80e53-b1e5-4a87-bc6a-86ea2c5a913a.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