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1년새 두 배 랠리 SNOW ② "밸류 아직 낮다" 월가 강세론

2025-09-05

IB들 목표주가 줄상향

PSR 경쟁사에 크게 미달

데이터 스토리지 시장 고성장

이 기사는 9월 5일 오후 3시2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전세계 데이터 스토리지 시장은 10% 후반대의 추세적인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이고, 이미 33% 가량의 점유율을 차지한 스노우플레이크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데이터 스토리지 시장 규모는 2559억달러로 파악됐다.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연평균 17.2%에 달하는 고성장을 연출할 전망이다.

전체 스토리지 중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60%를 웃도는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ML), 데이터 기반 사업의 성장에 따라 차세대 스토리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이와 별도로 시장 조사 업체 콘세직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는 AI 기반의 데이터 스토리지 시장 규모가 2023년 247억달러에서 2031년 1608억달러로 확대되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연평균 26%를 웃도는 성장을 예고한 셈이다.

업계에 따르면 스노우플레이크는 클라우드 데이터 스토리지 시장에서 33% 가량의 점유율을 차지, 강력한 입지를 구축했다.

최근 수 년간 연 매출액이 30%에 가까운 성장을 나타냈고, 순 매출액 유지율(NRR)이 125% 내외에 이르는 등 고객 충성도 역시 견고하다. 포춘 2000을 포함한 대형 엔터프라이즈 고객 기반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움직임도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스노우플레이크의 주가는 9월4일(현지시각) 221.90달러로 거래를 마감해 2025년 초 이후 40% 상승했고, 최근 1년 사이 두 배 뛰었다. 1년 동안 61% 오른 인공지능(AI)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NVDA)를 압도하는 상승률이다. 하지만 지난 2021년 11월 400달러에 근접했던 주가는 여전히 반토막 수준이다.

최근 1년간 업체의 주가가 가파르게 뛰었지만 수익성이나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추가 상승 여지가 높다는 데 월가는 한 목소리를 낸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스노우플레이크의 2026 회계연도 2분기 기준 잔여 이행 의무(RPO)가 전년 동기 대비 33% 늘어난 69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미 가파르게 늘어나는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최근 분기 실적 발표 자리에서 경영진이 연간 매출액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AI의 확산에 따라 스노우플레이크의 시장 기회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경영진은 총 목표 시장(TAM)이 향후 5년간 두 배 이상 증가해 2029년 355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업체의 고성장이 앞으로 수 년간 지속될 가능성을 예고한 셈이다.

또 한 가지 주목할 대목은 스노우플레이크의 지난 분기 순이익 증가 폭이 두 배로, 엔비디아의 성장률 54%를 앞질렀다는 사실이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업체의 이익 성장폭이 상당 기간 엔비디아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 1년간 주가 랠리가 부담스럽게 보일 수 있지만 시장 전문가들의 낙관론은 추세적인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 준다.

미국 온라인 투자 매체 모틀리 풀에 따르면 스노우플레이크의 주가매출액비율(PSR)은 19배로 파악됐다. 이는 엔비디아의 수치 30배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이 역시 추가 상승을 겨냥한 비중 확대 전략에 설득력을 제공한다.

경쟁 업체인 팔란티어(PLTR)가 매출액 전망치를 기준으로 75배를 웃도는 PSR에 거래되는 점을 감안하면 스노우플레이크의 상대적인 저평가 매력이 더욱 두드러진다.

에버코어는 보고서를 내고 "가파른 매출액 성장과 영업이익률 개선이 맞물려 스노우플레이크의 밸류에이션 상승 모멘텀을 제공할 전망"이라며 "업체와 월가 모두 실적 전망치를 추가로 상향 조정할 여지가 높다"고 전했다.

에버코어는 이번 보고서에서 스노우플레이크의 목표주가를 240달러에서 28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최근 종가에서 26% 상승 가능성을 제시한 수치다.

다른 투자은행(IB)도 업체의 목표주가를 줄줄이 상향 조정했다.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와 연간 실적 전망치 상향 조정을 확인한 월가가 이구동성 강세론을 외치는 모양새다.

파이퍼 샌들러는 보고서를 내고 스노우플레이크의 목표주가를 215달러에서 285달러로 대폭 높여 잡았다. 투자 의견은 '비중 확대'로 유지했다. 마켓워치와 시장 조사 업체 팁 랭크스에 따르면 초강세론자가 제시한 목표주가 440달러를 제외하고 파이퍼 샌들러의 전망치가 투자은행(IB) 업계에서 가장 높다.

보고서는 기존의 핵심 사업이 가파른 성장을 보이는 한편 AI 솔루션 매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업체의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키뱅크는 업체의 목표주가를 250달러에서 27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 의견은 '비중 확대'. 모든 신제품 영역과 이른바 마이그레이션 활동(migration activity)에서 업체의 강점이 분명히 확인된다고 보고서를 전했다.

마이그레이션 활동이란 기존의 데이터 스토리지와 온프레미스 시스템, 레거시 인프라 등에서 스노우플레이크의 플랫폼으로 자산을 이전 또는 전환하는 모든 전략적, 기술적 과정을 의미한다. 즉, 기존 고객이나 신규 고객 모두 빠르게 스노우플레이크로 전환을 추진중이라는 얘기다. 이는 업체의 강력한 성장 가능성을 예고하는 지표로 통한다.

DA 데이비드슨 역시 보고서를 내고 스노우플레이크의 목표주가를 250달러에서 275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적극적인 매수를 추천했다.

보고서는 회계연도 2분기 업체의 4개 핵심 사업 부문이 고르게 강한 성장을 나타냈다며 목표주가 상향 조정의 이유를 밝혔다.

RBC 캐피탈 마켓도 업체의 목표주가를 250달러에서 275달러로 높였다. 투자 의견은 '시장 수익률 상회'로 유지했다. 새로운 AI 솔루션 판매 호조가 향후 실적을 낙관하게 한다고 RBC는 강조한다.

이 밖에 스티펠 니콜라우스는 업체의 목표주가를 220달러에서 260달러로 상향 조정했고, 미즈호는 235달러에서 260달러로 올렸다. 미즈호는 업체의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이 특출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shhw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