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금융지주가 생산적금융 1차 계획을 내놓은 가운데 AI·바이오 등 특정 분야에 투자 계획이 집중되면서 '쏠림' 우려도 커지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생산적금융 투자 계획에서 인프라·신재생에너지·데이터·AI·물류·항만 등을 투자 대상으로 선정했다. 신한금융은 AI·반도체·기후·에너지·인프라와 콘텐츠·식품 등 K-붐업 산업에 집중한다. 하나금융은 AI·바이오·문화콘텐츠·방위우주항공·에너지전환을 뜻하는 'ABCDE' 전략을 내세웠다. 우리금융은 AI·바이오·방산 3개 분야를 핵심 투자처로 지목했다.
4개 금융지주 모두 국민성장펀드 투자 방향에 맞춰 계획을 수립했다. 국민성장펀드는 AI·반도체·바이오·백신·로봇·수소·이차전지·디스플레이·미래차·방산 등 첨단산업 및 그 밸류체인(생태계)를 지원 대상으로 규정했다. 정부가 AI를 기본으로 에너지와 바이오를 주요 투자 분야로 설정하면서, 금융지주들도 이 영역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 방향 유사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온다. 4대 금융지주 모두 AI를 핵심 축으로 삼았고, 바이오와 에너지 부문에 자금이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나머지 분야도 방위산업·문화·콘텐츠 등으로 '대동소이'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지주 생산적금융 중 산업 투자는 상당수가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집행될 예정”이라면서 “유망 기업이나 산업군에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대상 폭이 넓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국민성장펀드 지원 분야 일부가 기존 정책펀드, 특히 중소기업 모태펀드 내 자펀드 구성과 투자영역이 겹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예컨대 A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혁신펀드'와, 바이오 분야는 보건복지부 'K-글로벌백신펀드' 등과 투자 대상이 유사하다. 동일한 산업에 복수 정책금융이 동시에 투입될 경우 자금이 특정 기업에 편중되거나 투자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정무위원회에 보고한 '2026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에서 “국민성장펀드 조성에 따라 금융위원회가 정책펀드 간 투자 대상이 중복되지 않도록 방안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또 “다양한 정책펀드가 개별적으로 조성됨에 따라 정책펀드 간 중복 문제 해소 방안이 필요하며, 펀드 운용현황 공개 및 성과평가 강화, 회수재원 국고반환 원칙화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고 보강방안을 제시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韓 '20%룰' 묶여있을 때…엔비디아 CVC는 AI·양자컴에 투자[생산적금융 대전환]](https://newsimg.sedaily.com/2025/11/10/2H0EFYI70V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