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 단체들이 내년도 공무원 보수 인상을 두고 3년 연속 6%대 기본급 인상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다.
15일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에 따르면 이들은 전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를 열고 내년도 공무원 임금 6.6% 인상을 요구했다.
이날 결의대회는 공노총과 함께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민주우체국본부, 교육청노동조합연맹, 전국경찰직장협의회 등이 함께 주최했다.
공노총은 지난 6월 19일 공무원보수위원회에 임금 관련 요구안을 공식 전달했다.
핵심 내용은 ▷기본급 6.6% 인상 ▷정액급식비 월 3만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월 3만5000원 인상 ▷초과근무수당을 기준호봉 월급의 60% 수준으로 인상 ▷정근수당 및 명절휴가비 10% 인상 등이다.
이후 공노총은 6월 30일 1차 간부결의대회를 개최했으며 이날은 공무원보수위원회 2차 전체회의 일정에 맞춰 두 번째 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최근 결정된 2026년도 최저임금은 시급 1만320원으로 월 환산 시 약 215만원(월 209시간 기준)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올해 일반직 9급 신규 공무원의 월 기본급(약 200만 원)보다 높아 공무원 임금이 현실과 괴리돼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등 공통수당을 포함하면 9급 초임 월평균 보수는 269만원(연 3222만 원) 수준이지만 여전히 적은 보수와 업무 강도를 이유로 공무원 신규 채용 기피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청도군공무원노조 정순재 위원장은 "매년 여름이면 임금이 공직사회의 최대 화두가 된다"며 "120만 공무원 노동자들은 고물가에 역행하는 임금 인상액으로 실질임금은 감소했고, 결국엔 생존권 위기에 내몰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은 "공무원은 국민 곁에서 국가를 지탱하는 존재이지만, 오히려 처우는 민간보다 뒤처지고 있다"며 "공무원 사이에선 '공노비'라는 자조와 함께, 공직을 빨리 떠나는 것이 승리라는 인식이 팽배하다"고 비판했다.